【俱胝】 ① <梵> koṭi 是梵語數量詞 又譯作拘致 俱致 相當於中土所稱之千萬 億 △阿毘達磨俱舍論十二 有一無餘數始爲一 一十爲十 十十爲百 十百爲千 十千爲萬 十萬爲洛叉 十洛叉爲度洛叉 十度洛叉爲俱胝(云云) ▲指月錄三摩訶迦葉 往辭阿闍世王 遂杳然入雞足山 席草而坐 自念 今我被糞掃服 持僧伽黎 必經五十七俱胝六十百千歲 至於彌勒出世 終不致壞 ②指俱胝和尙 ▲五燈會元八明招德謙 師問國泰 古人道 俱胝祇念三行呪 便得名超一切人 作麽生與他拈却三行呪 便得名超一切人 泰竪起一指 師曰 不因今日 爭識得瓜洲客
구지(俱胝) ① <범> koṭi. 이는 범어의 수량사임. 또 번역해 구치(拘致)ㆍ구치(俱致)로 지음. 중토(중국)에서 일컫는 바의 천만ㆍ억에 상당함. △아비달마구사론12. 하나의 무여수(無餘數)가 있어 비로소 일(一)이 된다. 1십은 십이 되고 10십은 백이 되고 10천은 만이 되고 10만은 락차(洛叉)가 되고 10락차는 도락차(度洛叉)가 되고 10도락차는 구지(俱胝)가 된다 (운운). ▲지월록3 마하가섭. 아사세왕에게 가서 고별하고 드디어 묘연(杳然)히 계족산으로 들어가 풀을 좌석으로 삼아 앉았다. 스스로 생각하되 지금 내가 입은 분소복(糞掃服)과 가진 승가리가 반드시 57구지(俱胝) 60백천 세를 지나 미륵이 출세함에 이르기까지 마침내 붕괴를 이루지 않으리라. ②구지화상(俱胝和尙)을 가리킴. ▲오등회원8 명초덕겸. 스님이 국태에게 묻되 고인이 말하기를 구지(俱胝)는 다만 3행의 주문을 외워 바로 명성이 일체인을 초월함을 얻었다 하니 어떻게 해야 그에게 3행의 주문을 염각(拈却; 집어 물리침)해 주겠는가. 국태가 한 손가락을 세웠다. 스님이 가로되 금일을 인하지 않았다면 어찌 과주객(瓜洲客)을 식득(識得)하겠는가.
) -->
【舊止】 舊時居止處 ▲五燈嚴統八羅漢桂琛 復屆閩城舊止 遍遊近城梵宇
구지(舊止) 구시의 거지처(居止處). ▲오등엄통8 라한계침. 다시 민성의 구지(舊止)에 다다라 가까운 성의 범우(梵宇)를 두루 다녔다.
) -->
【舊知】 舊友 ▲楊岐方會語錄 久旱逢初雨 他鄕遇舊知
구지(舊知) 오랜 벗. ▲양기방회어록. 오랜 가뭄에 초우를 만났고 타향에서 구지(舊知)를 만났다.
) -->
【九地】 猶言遍地 大地 ▲宏智廣錄五 迅雷當空 震徹九地
구지(九地) 편지ㆍ대지라고 말함과 같음. ▲굉지광록5. 신속한 우레가 허공에 당하여 진동이 구지(九地)에 사무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0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9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7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6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5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