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久住】 指久居一處 又作舊住 久住叢林之僧稱爲久住僧 ▲雲門廣錄中 示衆云 爾等諸人每日上來下去 問訊卽不無 若過水時將什麽過 有久住僧對云 步 師深喜之
구주(久住) 한 곳에 오래 거주함을 가리킴. 또 구주(舊住)로 지음. 총림에 오래 거주한 승인을 일컬어 구주승이라 함. ▲운문광록중. 시중해 이르되 너희 등 제인이 매일 위로 오르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문신함은 곧 없지 않으나 만약 물을 지날 때는 무엇을 가지고 지나느냐. 어떤 오래 머문 중(久住僧)이 대답해 이르되 보(步). 스님이 깊이 그것을 기뻐했다.
【九州】 指中國全土 又作九洲 字彙 洲 本作州 華嚴懸談會玄記一 九州者 尙書禹貢中云 禹別九州 爾雅云 兩河之間曰冀州(自河東至河西) 河南曰豫州(自河南至漢) 河西曰雝州(自河至西黑水) 漢南曰荊州(自漢南至衡山之陽) 江南曰楊州(自江南至海) 濟河間曰兗州(自河東至濟) 濟東曰徐州(自濟東至海) 燕曰幽州(自易水至北狄) 齊曰營州亦名靑州(自岱東至海) ▲祖庭事苑五 九州 冀 兖 靑 徐 楊 荊 豫 梁 雍 ▲禪門拈頌集第二八四則 智門祚頌 馬祖出得一汾州 妄想如雷播九州 參禪若無衲子眼 多於海上覔浮漚
구주(九州) 중국 전토를 가리킴. 또 구주(九洲)로 지음. 자휘 주(洲) 본래 주(州)로 짓는다. 화엄현담회현기1. 구주(九州)란 것은 상서 우공 중에 이르되 우(禹)가 구주로 나누었다. 이아에 이르되 양하(兩河)의 사이를 가로되 기주(冀州; 하동으로부터 하서에 이르기까지)며 하남을 가로되 예주(豫州; 하남으로부터 漢에 이르기까지)며 하서를 가로되 옹주(雝州; 河로부터 흑수에 이르기까지)며 한남(漢南)을 가로되 형주(荊州; 한남으로부터 형산의 陽에 이르기까지)며 강남을 가로되 양주(楊州; 강남으로부터 海에 이르기까지)며 제하(濟河) 사이를 가로되 연주(兗州; 하동으로부터 濟에 이르기까지)며 제동(濟東)을 가로되 서주(徐州; 제동으로부터 海에 이르기까지)며 연(燕)을 가로되 유주(幽州; 역수로부터 북적에 이르기까지)며 제(齊)를 가로되 영주(營州), 또 이름이 청주(靑州; 岱東으로부터 海에 이르기까지)다. ▲조정사원5. 구주(九州) 기ㆍ연ㆍ청ㆍ서ㆍ양ㆍ형ㆍ예ㆍ량ㆍ옹. ▲선문염송집 제284칙. 지문조가 송하되 마조가 하나의 분주(汾州)에서 나와/ 망상이 우레와 같아 구주(九州)에 퍼뜨렸다/ 참선하면서 만약 납자의 눈이 없다면/ 다분히 해상에서 뜬 거품을 찾으리라.
) -->
【九州四海】 猶言天下 泛指全中國 緇門警訓註上 爾雅 九夷 八狄 七戎 六蠻 謂之四海 海者 晦也 取其荒遠冥昧之稱 ▲緇門警訓二 九州四海都爲游處之方
구주사해(九州四海) 천하라고 말함과 같음. 널리 온 중국을 가리킴. 치문경훈주상 이아 9이(夷)ㆍ8적(狄)ㆍ7융(戎)ㆍ6만(蠻), 이를 일러 사해(四海)라 한다. 해란 것은 회(晦)니 황원(荒遠)하고 명매(冥昧)함을 취해 일컬음이다. ▲치문경훈2. 구주사해(九州四海)가 모두 노니는 곳의 지방이 된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8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7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5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4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72-873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