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天】 又稱九霄 天的最高處 形容極高 祖庭事苑五 九天者 中央鈞天 東方蒼天 東北方玄天 西北幽天 西方浩天 西南朱天 南方炎天 東南陽天 其說見淮南子(天文訓) ▲禪門拈頌集第一○○八則 法眞一頌 南山起雲北山雨 羅浮打鼓韶州舞 石虎咆哮上九天 泥牛入海無尋處 ▲圓悟語錄三 名自樞密府 恩從九天至
구천(九天) 또 명칭이 구소(九霄)니 하늘의 가장 높은 곳. 극히 높음을 형용. 조정사원5 구천(九天)이란 것은 중앙은 균천이며 동방은 창천이며 동북방은 현천이며 서북은 유천이며 서방은 호천이며 서남은 주천이며 남방은 염천이며 동남은 양천이다. 그 설은 회남자(천문훈)를 보라. ▲선문염송집 제1008칙. 법진일이 송하되 남산에 구름이 일어나니 북산에 비가 오고/ 나부에서 북을 치매 소주에서 춤춘다/ 석호는 포효하며 구천(九天)에 오르고/ 이우(泥牛)는 바다에 들더니 찾을 곳이 없다. ▲원오어록3. 명예는 추밀부(樞密府)로부터며 은총은 구천(九天)으로부터 이른다.
) -->
【九天雲路】 祖庭事苑五 九天雲路 古詩云 九天雲路早須尋 莫使蹉跎歲月深 謝氏有才憐白髮 顔生無意戀黃金 九天者 中央鈞天 東方蒼天 東北方玄天 西北幽天 西方浩天 西南朱天 南方炎天 東南陽天 其說見淮南子(天文訓) ▲禪宗頌古聯珠通集三十八 天衣示衆曰 九天雲路早須尋 莫遣蹉跎歲月深 天地懸遠 向甚麽處去
구천운로(九天雲路) 조정사원5. 구천운로(九天雲路) 고시에 이르되 구천의 운로를 일찍 찾음을 쓰고/ 차타(蹉跎; 시기를 잃음)하여 세월을 깊어지게 하지 말아라/ 사씨(謝氏)는 재주가 있어 백발을 가련히 여겼고/ 안생(顔生)은 황금을 연모함엔 뜻이 없었다. 구천이란 것은 중앙은 균천이며 동방은 창천이며 동북방은 현천이며 서북은 유천이며 서방은 호천이며 서남은 주천이며 남방은 염천이며 동남은 양천이다. 그 설은 회남자(천문훈)를 보라. ▲선종송고연주통집38. 천의가 시중해 가로되 구천의 운로(九天雲路)를 일찍 찾음을 쓰고 세월을 차타(蹉跎; 시기를 잃음)하여 보내면서 깊어지게 하지 말아라. 천지가 아득히 머나니 어느 곳을 향해 가려느냐.
) -->
【究徹】 與究盡同義 ▲圜悟心要下始 究徹不及 返生狐疑
구철(究徹) 구진(究盡; 궁구하여 다함)과 같은 뜻. ▲원오심요하시. 구철(究徹)하여 미치지 못하면 도리어 호의(狐疑; 여우의 의심)를 낸다.
) -->
【具瞻】 指爲衆人所瞻望 ▲圓悟語錄三 副具瞻則八座三台 簡帝心乃鹽梅霖雨
구첨(具瞻) 많은 사람들의 첨망하는 바가 됨을 가리킴. ▲원오어록3. 구첨(具瞻)을 도우면 곧 팔좌(八座)와 삼태(三台)며 제심(帝心)을 가리면(簡) 곧 염매(鹽梅)와 임우(霖雨)이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6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5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3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2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1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