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82쪽

태화당 2019. 5. 8. 11:19

扣參拜見請敎 五燈會元十九楊歧方會 每閱經 心融神會 能折節扣參老宿

구참(扣參) 배견하고 가르침을 청함. 오등회원19 양기방회. 매번 경을 열람하면서 심융신회(心融神會; 마음과 정신이 融會하고 관통하여 領悟가 명백함)하였으며 능히 절개를 꺾고 노숙을 구참(扣參)했다.

) --> 

久參謂長久參習 大慧語錄二十六 我此門中 不論初機晩學 亦不問久參先達 若要眞箇靜 須是生死心破 不著做工夫 生死心破 則自靜也

구참(久參) 이르자면 장구하게 참습함. 대혜어록26. 나의 이 문중에선 초기와 만학을 논하지 않으며 또한 구참(久參)과 선달(先達)을 묻지 않는다. 만약 진짜로 고요함을 요한다면 모름지기 이 생사심을 깨뜨리고 공부를 짓는 데엔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생사심이 파괴되면 곧 저절로 고요하다.

) --> 

久參事指禪人的本分事 卽明心見性 超脫生死 明覺語錄二 問聽道者 久參事作麽生 道者云 靑天白日

구참사(久參事) 선인의 본분사를 가리킴. 곧 명심견성하고 생사를 초탈함. 명각어록2. 청도자에게 묻되 구참사(久參事)가 어떠한가. 도자가 이르되 청천백일이다.

) --> 

九參上堂謂一月九次上堂也 一月中每三日上堂一參 卽爲九參 象器箋十一 古德有行九參上堂者 傳燈錄羅漢琛禪師章云 衆僧晩參 聞角聲 師曰 羅漢三日一度上堂 王太傅二時相助

구참상당(九參上堂) 이르자면 한 달에 9차 상당함임. 한 달 중에 매 3일마다 1참하므로 곧 9참이 됨. 상기전11. 고덕이 구참상당(九參上堂)을 행함이 있은 것은 전등록 라한계침선사장에 이르되 중승이 만참에 각성(角聲; 畫角 소리)을 들었다. 스님이 가로되 라한은 3일에 한 차례 상당하고 왕태부는 두 때에 상조(相助)한다.

) -->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