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滑】 謂言辭滑利而無實證 ▲雲門廣錄上 更欲蹋步向前尋言逐句求覓解會 千差萬別廣設問難 贏得一場口滑 去道轉遠 有什麽歇時
구활(口滑) 이르자면 언사는 매끄럽고 날카로우나 실증이 없음. ▲운문광록상. 다시 걸음을 디뎌 앞을 향해 말을 찾고 구절을 쫓으며 이해함을 구해 찾으며 천차만별로 널리 문난(問難; 물어 힐난함)을 베풀은 나머지로 한바탕의 구활(口滑)을 얻는다면 도와의 거리가 더욱 멀어지리니 무슨 쉴 때가 있으리오.
) -->
【九皇】 九皇大帝 是漢族民間信奉的神仙 道敎傳說的星神 是北斗七星星君(貪狼 巨門 祿存 文曲 廉貞 武曲 破軍)加上左輔右弼兩星君的合稱 [百度百科] ▲五燈會元六東山雲頂 道門朝九皇 鍊眞氣 不達三祇劫數
구황(九皇) 구황대제임. 이는 한족 민간에서 신봉하는 신선이니 도교 전설의 성신(星神)임. 이는 북두칠성성군(北斗七星星君; 탐랑ㆍ거문ㆍ녹존ㆍ문곡ㆍ염정ㆍ무곡ㆍ파군)에 좌보와 우필 두 성군을 위에 더한 합칭임 [백도백과]. ▲오등회원6 동산운정. 도문(道門)은 구황(九皇)을 조하(朝賀)하고 진기를 연마하지만 삼기겁(三祇劫)의 수에 도달하지 못한다.
【俱會一處】 往生極樂淨土而與諸上善人聚於一處 ▲爲霖還山錄三 諸上善人 俱會一處
구회일처(俱會一處) 극락정토에 왕생하여 여러 상선인(上善人)과 더불러 한 곳에 모임. ▲위림환산록3. 여러 상선인과 일처에 구회하다(俱會一處).
) -->
【九迴膓】 見九迴之悲 ▲空谷集第九十九則 休因三寸舌 縈損九迴膓
구회장(九迴膓) 구회지비를 보라. ▲공곡집 제99칙. 삼촌설(三寸舌) 인함을 그칠지니 구회장(九迴膓)을 얽어 손상한다.
) -->
【九迴之悲】 禪林疏語考證三 九迴之悲 司馬遷報少卿書曰 腸一日而九迴 又崔魯春日長安卽事曰 玉樓春暖笙歌夜 肯信愁腸日九回 ▲禪林疏語考證三 椿樹煙迷已茹六旬之苦 奈河浪闊豈勝九迴之悲
구회지비(九迴之悲) 선림소어고증3. 구회지비(九迴之悲) 사마천이 소경(少卿)에게 보고한 서에 가로되 창자는 하루에 아홉 번 돈다. 또 최로의 춘일장안즉사(春日長安卽事)에 가로되 옥루에 봄이 따뜻한 생가(笙歌)의 밤에 수장(愁腸)이 하루에 9회한다 함을 어찌 믿겠는가. ▲선림소어고증3. 춘수(椿樹)에 연미(煙迷; 안개가 자욱함)하니 이미 6순(旬)의 고를 받았거늘 나하(奈河)의 물결이 광활하다지만 어찌 구회지비(九迴之悲)를 이기겠는가.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96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95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93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92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891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