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9쪽

태화당 2019. 5. 8. 18:27

權時暫時 權 暫且也 古尊宿語錄三十七興聖國師 權時來寄君家宅 萬種千般是事能 認取當來眞本性 一時拋棄事皆行

권시(權時) 잠시. ()은 잠차(暫且; 잠시). 고존숙어록37 흥성국사. 권시(權時) 와서 그대의 가택에 의지하나니/ 만 종류 천 가지의 이 일에 능하다/ 당래의 진실한 본성을 인취(認取)하면/ 일시에 만사를 포기하고 다 행한다.

) --> 

權寔權實 寔 同實 頌古聯珠通集二十五 頓漸偏圓 權寔空有

권식(權寔) 권실. ()은 실()과 같음. 송고연주통집25. 돈점편원과 권식공유(權寔空有).

) --> 

權實適於一時機宜之法名爲權 究竟不變之法名爲實 西巖了慧語錄上 權實雙行 主賓互立 拏空塞空 以的破的 總是日午點燈毬 夜半潑墨汁

권실(權實) 일시의 기의(機宜)의 법에 적합함을 이름해 권()이며 구경에 변하지 않는 법을 이름해 실(). 서암요혜어록상. 권실(權實)을 쌍으로 행하고 주빈을 호상 세우며 허공을 잡아 허공을 메우고 과녁으로 과녁을 깨뜨림은 모두 이 일오(日午; 한 낮)에 등구(燈毬)를 켬이며 야반에 묵즙을 뿌림이다.

) --> 

權實不二門天台宗所立十種不二法門之一 九界七方便之法名爲權 佛界圓實之法名爲實 [十不二門] 宗鏡錄十五 九權實不二門者(云云)

권실불이문(權實不二門) 천태종에서 세운 바 십종 불이법문의 하나. 9()7방편의 법을 이름해 권()이며 불계의 원실한 법을 이름해 실()[십불이문]. 종경록15. 9. 권실불이문이란 것은 (운운).

) --> 

權實二智權智與實智 權智 又稱方便智 通達權巧方便之智慧 實智 乃契合實理之智慧 宗鏡錄三十六 般若無知者 則權實二智 平等大慧也

권실이지(權實二智) 권지(權智)와 실지(實智). 권지는 또 명칭이 방편지니 권교(權巧; 잠시 교묘함)의 방편에 통달한 지혜며 실지는 곧 실리에 계합하는 지혜임. 종경록36. 반야무지란 것은 곧 권실이지(權實二智)니 평등한 대혜이다.

權語權宜敎說之語 元來廣錄二十一 求一門深入 不可滯祖師權語

권어(權語) 권의(權宜; 임시적인 편의)의 교설의 말. 원래광록21. 한 문을 구해 깊이 들어가야 하나니 조사의 권어(權語)에 체재함은 옳지 않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