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眷言】 亦作睠言 回顧貌 言 詞尾 ▲五燈全書奏疏 眷言匡護 淸祖系於禪林
권언(眷言) 또한 권언(睠言)으로 지음. 회고하는 모양. 언은 사미(詞尾). ▲오등전서주소. 광호(匡護; 돕고 보호함)를 권언(眷言)하고 청조(淸祖)가 선림에 이었다.
) -->
【權輿】 始也 造衡自權始 造車自輿始也 ▲虗堂集第六十四則 權輿造化掌握乾坤
권여(權輿) 시(始)임. 저울을 만들면 저울대로부터 시작하고 수레를 만들면 수레 바탕으로부터 시작함. ▲허당집 제64칙. 권여(權輿)의 조화(造化)가 건곤을 장악하다.
) -->
【勸緣】 勸有緣之人而使寄附淨財也 ▲居士分燈錄下 居士分燈錄勸緣引
권연(勸緣) 인연이 있는 사람에게 권하여 정재를 기부하게 함. ▲거사분등록하. 거사분등록권연인.
) -->
【眷遇】 優待 ▲祖庭事苑七忠國師 及代宗臨御 眷遇如初
권우(眷遇) 우대. ▲조정사원7 충국사. 대종이 임어(臨御)함에 이르러 권우(眷遇)가 처음과 같았다.
) -->
【權宜】 暫時適宜的措施 ▲萬善同歸集序 要釋權宜 爰歸實相
권의(權宜) 잠시 적의(適宜; 적당)의 조시(措施; 조치. 대책). ▲만선동귀집서. 요컨대 권의(權宜)를 풀어 이에 실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圈子】 圈䙡 圈套 子 後綴 ▲御選語錄十二圓明居士 饒伊一觔斗翻到非非想天 也跳不出者圈子去
권자(圈子) 권괴(圈䙡; 올가미). 권투(圈套; 올가미). 자는 후철. ▲어선어록12 원명거사. 가령(饒) 너희가 한 번 근두를 뒤집어 비비상천에 이른다 하더라도 또한 이 권자(圈子)를 벗어나지 못한다.
) -->
【卷子】 卷軸 猶冊子 ▲古尊宿語錄三十七興聖國師 卷子裏抄 冊子裏寫
권자(卷子) 권축이니 책자와 같음. ▲고존숙어록37 흥성국사. 권자(卷子) 속에서 초(抄)하고 책자 속에서 베끼다.
) -->
【權迹】 乃諸佛所現之權化垂迹身 又作權跡 ▲宗鏡錄三十二 定父子而全付家珍 拂權迹而頓開寶藏
권적(權迹) 곧 제불이 나타내는 바의, 권화(權化)로 자취를 드리우는 몸. 또 권적(權跡)으로 지음. ▲종경록32. 부자를 확정하고 가진(家珍)을 전부 부촉하며 권적(權迹)을 떨치고 보장(寶藏)을 단박에 열다.
) -->
【勸轉】 三轉法輪之一 見三轉法輪 ▲爲霖雲山法會錄 三轉者 謂示轉 勸轉 證轉
권전(勸轉) 삼전법륜의 하나. 삼전법륜을 보라. ▲위림운산법회록. 삼전이란 것은 이르자면 시전ㆍ권전(勸轉)ㆍ증전이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42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41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9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8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7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