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7쪽

태화당 2019. 5. 8. 18:20

權發遣宋代推行的一種官制 淸 袁枚隨園隨筆 官職中 宋法判知之外 又有云權發遣者 則因其資輕而驟進 故於其結銜稱權發遣以示分別 王安石秉政時最多此官 程大昌演繁露云 以知縣資序隔二等而作州者謂之權發遣 [百度百科] 雲門匡眞禪師廣錄序 熙寧丙辰(1076) 三月二十五日 權發遣兩浙轉運副使公事 蘇澥序

권발견(權發遣) 송대에 추행(推行; 추진하여 감. 시행)하던 1종의 관제(官制). () 원매의 수원수필(隨園隨筆). 관직 중에 송법(宋法)은 판지(判知)의 밖에 또 권발견이란 것을 일컬음이 있으니 곧 그 자격이 가벼우면서 달려 나가는지라 고로 그 결함(結銜;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문서에 관함을 밝히어 적음)을 권발견으로 호칭하여 분별을 보였다. 왕안석이 정무를 잡았을 때 이 관직이 가장 많았다. 정대창의 연번로(演繁露)에 이르되 지현(知縣)의 자서(資序; 벼슬하는 자격과 벼슬의 지위)2등이 격()하면서 작주(作州)하는 자를 일컬어 권발견이라 한다 [백도백과]. 운문광진선사광록서. 희녕 병진(1076) 325일 권발견(權發遣) 양절전운부사공사 소해 서.

) --> 

權柄在手柄 卽指器物之把柄 權柄在手 卽有掌握權勢之意 禪林中乃轉指掌握事物之重心而任運自在 明覺語錄一 放行則瓦礫生光 把定則眞金失色 權柄在手 殺活臨時

권병재수(權柄在手) ()은 곧 기물의 손잡이를 가리킴. 권병재수는 곧 권세를 장악함이 있음의 뜻. 선림 중에선 이에 전()하여 사물의 중심(重心; 무게의 중심. 핵심)을 장악해 임운(任運; 운행하는 대로 맡김)하여 자재함을 가리킴. 명각어록1. 방행하면 곧 와력이 빛을 내고 파정하면 곧 진금이 색을 잃는다. 권병이 손에 있어서(權柄在手) 살활이 임시이다.

) --> 

權府權知府 宋代權遣京官充任的郡府長官 [互動百科] 圓悟語錄二 師於權府手中接得疏 示衆

(權府) 권지부니 송대 경관(京官)을 권견(權遣)하여 충임하는 군부의 장관 [호동백과]. 원오어록2. 스님이 권부(權府)의 수중에서 소를 접득(接得; 접수)하여 시중했다.

) --> 

卷舒齊唱卷舒 師家指導學人的作略 卷指否定 舒指肯定 齊唱 指齊用卷舒 碧巖錄第五則 所以照用同時 卷舒齊唱 理事不二 權實並行

권서제창(卷舒齊唱) 권서(卷舒)는 사가가 학인을 지도하는 작략을 가리킴. ()은 부정을 가리키고 서()는 긍정을 가리키고 제창은 가지런히 권서를 씀을 가리킴. 벽암록 제5. 소이로 조용이 동시며 권서를 제창하며(卷舒齊唱) 이사가 불이며 권실을 병행한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