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勸進】 與勸化同義 謂勸誘策進 ▲祖庭事苑二 循循 論語 夫子循循然善誘人 循循 次序貌 言夫子正以此道勸進人 有次序
권진(勸進) 권화와 같은 뜻. 이르자면 책진(策進)을 권유함. ▲조정사원2. 순순(循循) 논어 부자(夫子)가 순순연(循循然)히 잘 사람을 가르치다. 순순은 차서(次序; 차례의 순서)의 모양이니 말하자면 부자가 바로 이 도로써 사람에게 권해 나아가게(勸進) 하매 차서가 있음임.
) -->
【卷帙】 卷 卷軸 帙 書畵的封套用布帛制成 卽書衣 ▲元賢廣錄十四 此之五燈 卷帙浩繁 學者難以盡通
권질(卷帙) 권(卷)은 권축이며 질(帙)은 서화의 봉투니 포백(布帛)을 사용해 제작해 만듦. 곧 서책의 옷임. ▲원현광록14. 이 오등(五燈)은 권질(卷帙)이 호번(浩繁; 넓고 크며 번거롭고 많음)하여 학자가 다 통달하기 어렵다.
) -->
【勸請】 勸誘請求 ▲禪林僧寶傳二雲門 先是敏(如敏)不請第一座 有勸請者 敏曰 吾首座已出家久之
권청(勸請) 권유하고 청구함. ▲선림승보전2 운문. 이에 앞서 민(여민)이 제1좌를 청하지 않았다. 권청(勸請)하는 자가 있으면 민이 가로되 나의 수좌가 이미 출가한 지 오래되었다.
【勸湯】 勸喫湯也 禪林食後有勸湯之禮 ▲百丈淸規二迎待尊宿 勸湯湯罷 藥石並同常特爲禮
권탕(勸湯) 끽탕을 권함. 선림에서 식후에 권탕의 예법이 있음. ▲백장청규2 영대존숙. 권탕(勸湯)하고 탕을 마치면 약석(藥石)도 아울러 상시의 특위례와 같이 한다.
【權學】 同權敎 ▲五燈全書七十七彌壑澧 不若一念緣起無生 頓超三乘權學
권학(權學) 권교(權敎)와 같음. ▲오등전서77 미학례. 한 생각 연기의 무생이 3승(乘)의 권학(權學)을 문득 초월함만 같지 못하다.
) -->
【勸解】 勸人解怒 ▲林間錄下 巖頭雪峰勸解之
권해(勸解) 사람에게 노여움을 풀기를 권함. ▲임간록하. 암두와 설봉이 그에게 권해(勸解)했다.
) -->
【權現】 指佛菩薩爲普度衆生 而權巧化現各種形相 與權化 權迹 應現 示現 化現等同義 ▲續傳燈錄二十八東山覺 今時叢林將謂廣額過去是一佛權現屠兒 如此見廣額 且喜沒交涉
권현(權現) 불보살이 중생을 널리 제도하기 위해 권교(權巧)로 각종 형상을 화현함을 가리킴. 권화ㆍ권적ㆍ응현ㆍ시현ㆍ화현 등과 같은 뜻. ▲속전등록28 동산각. 금시의 총림에서 혹은 이르기를 광액(廣額)은 과거의 한 불타가 도아(屠兒)로 권현(權現)했다 하거니와 이와 같이 광액을 본다면 또 교섭이 없음을 기뻐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44쪽 (0) | 2019.05.0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43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41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40쪽 (0) | 2019.05.0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39쪽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