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相無空無不空 卽是如來眞實相
本空至虛無一物 對緣垂示萬般形
相도 없고 空도 없고 不空도 없음이/ 곧 이 여래의 진실상이로다/ 本空은 지극히 비어 한 물건도 없지만/ 인연을 상대해 만반의 형상을 垂示하도다.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遇
若不傳法度衆生 决定無能報恩者 【宗範上】
위없는 매우 깊은 미묘한 법이여/ 백천만겁에 조우하기 어렵도다/ 만약 傳法하여 중생을 제도하지 않는다면/ 결정코 능히 보은할 자 없느니라.
) -->
無數飛花舞曉風 天開二十五圓通
要知門戶從何入 問取溪邊石耳峯 【雜毒海二 贈別 無文燦】
무수한 飛花가 曉風에 춤추니/ 하늘이 二十五圓通을 열었도다/ 문호를 어디를 좇아 들어가야 하는지 알고자 한다면/ 시냇가의 石耳峯에게 問取하게나.
問取의 取는 助字.
二十五圓通 [出楞嚴經] 性體가 周遍함을 가로되 圓이며 妙用이 無碍함을 가로되 通이니 곧 일체중생의 本有의 心源이며 제불보살의 所證의 聖境이다. 二十五種이 있는 것은 이르자면 모든 보살 및 大羅漢이 六塵六根六識七大에 각각 悟入함이 같지 못한 연고이다. 一은 音聲 二는 色因 三은 香因 四는 味因 五는 觸因 六은 法因 七은 見元 八은 息空 九는 味知 十은 身覺 十一은 法空 十二는 心見 十三은 心聞 十四는 鼻識 十五는 法音 十六은 身戒 十七은 心達 十八은 火性 十九는 地性 二十은 水性 二十一은 風性 二十二는 空性 二十三은 識性 二十四는 淨念 二十五는 耳根 [出三藏法數卷第三十六].
) -->
無影枝頭一點春 可憐大地盡埋塵
陳年宿債昨宵盡 錯謂今朝又是新 【雜毒海八 立春 密雲悟】
그림자 없는 나뭇가지 끝의 一點의 봄이여/ 가련하다 대지가 다 티끌에 묻혔네/ 묵은 해의 묵은 빚은 어젯밤에 다하더니/ 잘못 이르기를 오늘 아침은 또 이 신년이라 하는구나.
陳은 묵을 진. 五行上 立春을 新年의 기준일로 삼음. 宿은 잘 숙. 묵을 숙. 오랠 숙.
) -->
無罪福無損益 寂滅性中莫問覓
比來塵鏡未曾磨 今日分明須剖析 【證道歌】
죄복도 없고 손익도 없나니/ 寂滅性 가운데에서 묻거나 찾지 말아라/ 요즈음 때 낀 거울을 일찍이 갈지 않았다면/ 금일 분명히 剖析함을 쓰리라.
比는 가까울 비. 來는 조자. 比來는 멀지 않은 요즈음. 剖는 쪼갤 부.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四句以上 十二畫(21-25) 報化雖然 散席迢迢 湘之南 喪盡生涯 舒卷悠悠 (0) | 2019.08.29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四句以上 十二畫(16-20) 無處靑山 補袞調羮 補陀巖畔 普天匝地 報化非眞 (0) | 2019.08.29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四句以上 十二畫(6-10) 童子南詢 無端提起 無量劫來 無縫塔 無事不須 (0) | 2019.08.29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四句以上 十二畫(1-5) 傑出叢林 棄却飄囊 幾年個事 幾年活計 幾回生 (0) | 2019.08.29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四句以上 十一畫(36-38) 通身一具 偏中正 荷葉團團 (0) | 201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