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960쪽

태화당 2019. 5. 9. 08:39

歸性攝有爲之事相 歸於眞如之實性 宏智廣錄四 百川會海而成一味 萬法歸性而成一家

귀성(歸性) 유위의 사상을 거두어 진여의 실성으로 돌아감. 굉지광록4. 백천(百川)이 바다에 모여 일미를 이루고 만법이 귀성(歸性)하여 일가를 이룬다.

) --> 

歸省宋代臨濟宗僧 冀州賈氏子 年弱冠 易州保壽院出家受具 嗣首山省念 南嶽下九世 住汝州葉縣廣敎院 其住持枯淡嚴密 衲子畏之 [廣燈錄十六 五燈會元十一]

귀성(歸省) 송대 임제종승. 기주 가씨의 아들이며 나이 약관에 역주 보수원으로 출가하여 수구(受具)했음. 수산성념(首山省念)을 이었으니 남악하 9. 여주 섭현의 광교원에 주()했는데 그는 주지하면서 고담(枯淡)하고 엄밀하여 납자가 그를 경외했음 [광등록16. 오등회원11].

) --> 

貴姓詢問對方姓氏之敬稱 祖堂集四藥山 便問 將軍是什摩處人 曰 鍾陵建昌人也 貴姓什摩 對曰 姓王

귀성(貴姓) 상대방의 성씨를 묻는 경칭임. 조당집4 약산. 바로 묻되 장군은 이 어느 곳의 사람입니까. 가로되 종릉 건창 사람입니다. 귀성(貴姓)은 무엇입니까. 대답해 가로되 성이 왕입니다.

) --> 

歸俗同還俗 棄僧而復歸於俗生活也 從容錄第二十八則 唐武宗好仙 沙汰僧尼二十六萬五百人 會昌五年(845)八月下旬 勒令歸俗 潙山警策句釋記上 迦葉經云 時五百比丘言 我等不能精進 恐不能消信施供養 請乞歸俗

귀속(歸俗) 환속과 같음. 승인을 버리고 세속에 복귀하여 생활함. 종용록 제28. 당 무종은 선교(仙敎)를 좋아하여 승니 265백 인을 사태(沙汰)하였다. 회창 5(845) 8월 하순 칙령으로 귀속(歸俗)하게 했다. 위산경책구석기상. 가섭경에 이르되 때에 5백 비구가 말하기를 우리 등은 능히 정진하지 못하며 능히 신시(信施)의 공양을 소화하지 못할까 염려합니다. 청컨대 귀속(歸俗)을 걸구합니다.

) --> 

鬼祟鬼物作祟 也有鬼怪 鬼怪作祟害人 喩行爲不光明正大的意思 祟 指鬼神給人帶來的災禍 [百度百科] 從容錄第七十三則 依草附木 去作精靈 負屈啣冤 來爲鬼祟

귀수(鬼祟) 귀물(鬼物; 귀신. 요괴)이 수(; 빌미)를 지음. 또한 귀괴(鬼怪; 귀신과 요괴)가 있으며 귀괴가 수()를 지어 사람을 해침이니 행위가 광명정대하지 못함의 의사(意思)에 비유함. ()는 귀신이 사람에게 급여하여 지니고 오는 재화(災禍)를 가리킴 [백도백과]. 종용록 제73. 의초부목(依草附木)은 가서 정령을 짓고 부굴함원(負屈啣冤; 冤屈을 지고 원통함을 머금다)은 와서 귀수(鬼祟)를 만든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