依稀似曲纔堪聽 又被風吹別調中 【古尊宿語錄十四 趙州章】
어렴풋이 곡조와 같아 겨우 들을 만하더니 또 바람 붊을 입어 별다른 곡조 가운데로다.
) -->
泥牛背上駞紅日 石女胸前掛玉環 【慈受懷深錄一】
이우의 등 위에 붉은 해를 실었고 석녀의 가슴 앞에 옥가락지를 걸었다.
) -->
泥牛昨夜遭塗炭 直至如今不見蹤 【呆菴普莊錄三】
이우가 어젯밤에 도탄을 만나 바로 여금에 이르도록 자취를 보지 못한다.
) -->
林花著雨臙脂落 水荇牽風翠帶長 【物初大觀錄】
林花에 비가 때리니 연지가 떨어지고 水荇이 바람을 당기니 푸른 띠가 길어졌다.
臙은 연지 연. 荇은 마름 행.
) -->
長江日夜向東流 這裏何曾有今古 【爲霖還山錄一】
장강이 일야로 동쪽을 향해 흐르거니와 이 속에 어찌 일찍이 今古가 있으랴.
) -->
長江晝夜東流去 海水從來不減增 【宗鑑法林六】
장강이 주야로 동으로 흘러가지만 바닷물은 종래로 덜어지거나 더하여지지 않는다.
) -->
長空雨散雲收後 一段風光屬當家 【石溪心月錄上】
장공에 비 흩어지고 구름 걷힌 후에 一段의 풍광이 當家에 속했다.
) -->
長空有路還須透 潭底無蹤不用尋 【續傳燈錄四】
장공에 길이 있으니 도리어 투과함을 쓰고 못 밑엔 자취가 없으니 찾음을 쓰지 말아라.
) -->
長安夜夜家家月 幾處笙歌幾處愁 【開福道寧錄下】
장안에 밤마다 집집마다의 달이여 몇 곳이 笙歌며 몇 곳이 수심이던가.
) -->
長憶江南三月裏 鷓鴣啼處百花香 【五燈全書四十八】
늘 추억하노니 강남의 삼월 속 자고가 우는 곳에 백화가 향기롭더라.
長憶江南三月裏 春風微動水生鱗 【人天眼目一】
늘 추억하노니 강남의 삼월 속 춘풍이 미동하매 물에 비늘이 생기더라.
長憶江南春雨後 夕陽影裏鷓鴣啼 【雪巖祖欽錄一】
늘 추억하노니 강남의 봄비 온 뒤에 석양의 그림자 속에 자고가 울더라.
長因虎嘯風生處 記得龍吟霧起時 【長靈守卓錄】
늘 범이 읊조리매 바람이 생기는 곳으로 인하여 용이 읊으매 안개가 일어날 때를 기억하노라.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8획 拄杖子?跳上天 (0) | 2019.08.30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8획 長將日月爲天眼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8획 夜聽水流菴後竹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8획 夜冷魚潛空下釣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8획 非但我今獨達了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