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송구집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10획 修心未到無心地

태화당 2019. 8. 31. 08:59

修心未到無心地 萬種千般逐水流 石屋淸珙錄上

마음을 닦아 무심한 경지에 이르지 못하면 만 가지 천 가지가 물 따라 흐른다.

) --> 

殊相劣形皆是幻 凡名聖號總成虛 永盛註頌證道歌

잘난 모양과 못난 형상이 다 이 이며 범부라는 이름과 성인이란 호가 다 헛됨을 이룬다.

) --> 

時挑野菜和根煑 旋斫生柴帶葉燒 續刊古尊宿語要三

때에 야채를 뽑아 뿌리째 삶고 생 장작을 휙 쪼개어 잎까지 태운다.

) --> 

時挑野菜和根煑 旋採山柴帶葉燒 白雲守端錄一

때에 야채를 뽑아 뿌리째 삶고 산의 장작을 빨리 채집해 잎까지 태운다.

) --> 

時時扶過斷橋水 處處伴歸明月村 爲霖還山錄一

때때로 부축하며 단교수를 지나고 처처에 짝해 명월촌으로 돌아간다.

) --> 

時有白雲來閉戶 更無風月四山流 聯燈會要二

때에 백운이 내방함이 있으나 문호를 닫은지라 다시 四山에 흐를 풍월이 없다.

) --> 

時人欲識嵓中意 幽禽時與斷雲還 法泉繼頌證道歌

시인이 嵓中의 뜻을 알려고 하자 그윽한 새가 때맞쳐 조각구름과 함께 돌아오다.


時人住處我不住 時人行處我不行 法演錄下

시인이 머무는 곳에 나는 머물지 않고 시인이 행하는 곳을 나는 행하지 않는다.

) --> 

時人只看絲綸上 不見蘆花對蓼紅 續刊古尊宿語要三

시인이 단지 낚싯줄 위만 보고 갈대꽃이 여뀌의 붉음을 대했음을 보지 못하다.


時淸道泰封疆闊 合國歡呼賀太平 兀菴普寧錄上

시는 맑고 도는 크고 봉강은 넓어 온 나라가 환호하며 태평을 축하하다.


神頭鬼面有多般 返本還源沒些子 永盛註頌證道歌

신두귀면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반본환원하니 조금도 없다.

) --> 

逆順境緣風過樹 殘生不直半文錢 紫栢集十五

역순의 境緣은 바람이 나무를 스침이며 잔생은 반문전의 가치도 안된다.

) --> 

烏兎任從更互照 碧霄雲外不相干 眞歇淸了錄

까마귀와 토끼는 다시 서로 비추는 대로 맡기나니 푸른 하늘은 구름 밖에서 상간하지 않는다.


烏兎는 해와 달.

) --> 

留得一雙靑白眼 笑看無限往來人 列祖提綱錄十七 傑峯愚章

한 쌍의 청백안을 머물러 두어 무한한 왕래인을 웃으며 보노라.

) --> 

流水無情戀落花 落花何事隨流水 月江正印錄下

유수는 뜻에 낙화를 연모함이 없거늘 낙화는 무슨 일로 유수를 따르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