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畫
) -->
十方無壁 四面無門 【五燈全書六十四】
시방에 벽이 없고 사면에 문이 없다.
) -->
十方世界 只在目前 【楚石梵琦錄七】
시방세계가 다만 목전에 있다.
) -->
十里雙牌 五里單堠 【續傳燈錄十六】
십 리마다 쌍패며 오 리마다 단후다.
堠는 망대 후. 돈대 후.
) -->
十語九中 不如一默 【眞歇淸了錄 五燈全書卅八】
열 마디의 말에 아홉이 맞더라도 한 번 침묵함만 같지 못하다.
十言九中 不如一默 【空谷集二 二○則 五燈全書卅八】
열 마디의 말에 아홉이 맞더라도 한 번 침묵함만 같지 못하다.
) -->
十日一風 五日一雨 【碧巖錄一 九則】
열흘에 한 번 바람 불고 닷새에 한 번 비가 오다.
) -->
十字路頭 望空啓告 【五燈全書卄三】
십자의 노두에서 허공을 바라보며 알려 고하다.
啓는 여쭐 계. 열 계.
了了常知 了知不及
요료하여 늘 알지만 요지가 미치지 못하다.
二人同心 其誼斷金 【石田法薰錄一】
두 사람이 동심이면 그 友誼가 금을 끊는다.
誼는 情 의. 正義 의. 옳을 의.
斷金 張歆흠이 管寧과 벗이 되었다. 두 사람이 과수원을 호미질하다가 금 一挺정(挺은 量詞)을 발견했다. 녕이 드디어 호미를 휘두르고 흠과 함께 떠났다. 이윽고 땔나무를 채집하는 사람이 그것을 보고 뱀이라고 여겨 인하여 쪼개어 두 조각을 만들었다. 흠과 녕이 다시 와서 그것을 보매 곧 금이었다 [祖庭事苑卷第五].
) -->
人能弘道 非道弘人 【法演錄下 論語 衛靈公十五】
사람이 능히 도를 크게 하고 도가 사람을 크게 하지 못한다.
) -->
人無遠慮 必有近憂 【破菴祖先錄 大慧普覺錄七 論語 衛靈公十五】
사람이 먼 사려가 없으면 반드시 가까운 우환이 있다.
) -->
人貧智短 馬瘦毛長 【應菴曇華錄五 法演錄上】
사람이 가난하면 지혜가 짧고 말이 여위면 털이 길다.
) -->
人心難滿 谿壑易盈 【楚石梵琦錄三】
사람의 마음은 채우기 어렵고 골짝은 채우기 쉽다.
人人具足 箇箇圓成 【聯燈會要十八】
사람마다 구족했고 낱낱마다 원성했다.
) -->
人情若好 喫水也肥 【白雲守端錄一】
인정이 만약 좋으면 물을 마셔도 또한 살찐다.
) -->
人情若好 喫水也甜 【列祖提綱錄四十】
인정이 만약 좋으면 물을 마셔도 또한 달다.
) -->
人平不語 水平不流 【宏智錄四】
사람이 평안하면 말을 아니하고 물이 평평하면 흐르지 않는다.
人許我易 我自許難 【湛然圓澄錄七】
타인이 나를 허가하기는 쉽지만 내가 스스로 허가하기는 어렵다.
刁刀相似 魚魯參差 【了菴淸欲錄一】
조도가 상사하고 어로가 참치하다.
刁는 刁斗(古軍用器) 조. 參은 층날 참. 가지런하지 않을 참. 差는 어긋날 치. 층날 치. 參差는 어긋나서 가지런하지 않은 모습.
) -->
八字打開 兩手分付 【金剛經冶父頌】
八자로 타개하여 양손으로 분부하다.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4획 (0) | 2019.09.01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3획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1획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四句以上 18-24획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四句以上 17획 (0) | 2019.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