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00쪽

태화당 2019. 5. 9. 09:16

極證至極之悟 祖庭事苑八 大凡其人預吾敎者 盡當務此秘密極證 乃爲之正見

극증(極證) 지극한 깨침. 조정사원8. 대범(大凡; 무릇) 그 사람이 우리 교()에 참예한 자는 다 마땅히 이 비밀스런 극증(極證)에 힘써야 곧 정견이 된다.

) --> 

極地至極之地 憨山夢遊集九 菩提爲涅槃之安宅 福樂之極地也

극지(極地) 지극한 경지. 감산몽유집9. 보리는 열반의 안택이며 복락의 극지(極地)이다.

) --> 

劇秦美新王莽篡漢自立 國號新 揚雄仿司馬相如封禪文 上封事給王莽 指斥秦朝 美化新朝 故名劇秦美新 [百度百科] 禪林疏語考證一 楊雄劇秦美新曰 懿律嘉量 金科玉條 註 法令也

극진미신(劇秦美新) 왕망이 한을 찬탈하고 자립하여 국호를 신()이라 했음. 양웅이 사마상여의 봉선문(封禪文)을 모방하여 봉사(封事; 密封奏章)를 올려 왕망에게 주면서 진조(秦朝)를 가리켜 배척하고 신조(新朝)를 미화했으므로 고로 이름이 극진미신임 [백도백과]. 선림소어고증1. 양웅의 극진미신(劇秦美新)에 가로되 의율가량(懿律嘉量; 아름다운 법률과 度量)이며 금과옥조다. () 법령이다.

) --> 

極唱究竟之言說 註心賦四 作智海之健舟 爲法筵之極唱

극창(極唱) 구경의 언설. 주심부4. 지해(智海)의 건주(健舟; 튼튼한 배)가 되고 법연(法筵)의 극창(極唱)이 되다.

) --> 

尅責又作剋責克責 多指自責 禪林類聚五 每日尅責不休 一日忽然誦苕箒二字則大悟

극책(尅責) 또 극책(剋責)ㆍ극책(克責)으로 지음. 다분히 자책을 가리킴. 선림류취5. 매일 극책(尅責)하며 쉬지 않았다. 어느 날 홀연히 소추(苕箒) 2자를 외우다가 곧 대오했다.

) --> 

極天至天 達於天 五燈全書八十五檗菴志 一剎那頃 頓破千年之闇 可謂極天快事

(極天) 하늘에 이르다. 하늘에 도달하다. 오등전서85 벽암지. 1찰나경에 문득 천 년의 어둠을 깨뜨리니 가히 극천(極天)의 쾌사라 할 만하다.

) --> 

克初岱淸代臨濟宗僧濟岱 字克初 詳見濟岱

극초대(克初岱) 청대 임제종승 제대의 자가 극초니 상세한 것은 제대(濟岱)를 보라.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