擧僧問
擧 僧問雲居 湛湛時如何 居云 不流 說甚麽湛湛 師云 此是嚼작鐵之言 已上三節 見懷和尙本
) -->
擧하다. 중이 雲居(道膺이니 洞山良价의 法嗣)에게 묻되 湛湛할 때는 어떻습니까. 居가 이르되 흐르지 않거늘 무슨 담담을 설하느냐. 스님이 이르되 이것은 쇠를 씹는 말이다. 已上 三節은 義懷和尙本을 보라.
) -->
擧光明寂照
因僧擧光明寂照徧河沙 師云 豈不是張拙졸秀才語 僧云 是 師云 話墮也 此緣印本語意倒錯 而或謂張拙爲相公 因錄其緣以示學者 拙 唐人也 因訪石霜 霜問曰 公何姓 曰 姓張 何名 曰 名拙 霜曰 覓巧了不可得 拙自何來 公於言下有省 乃述悟道頌曰 光明寂照徧河沙 凡聖含靈共我家 一念不生全體見 六根才動被雲遮 斷除煩惱重增病 趣向眞如總是邪 隨順衆緣無罣괘礙 涅盤生死是空花
) -->
중이 광명이 寂照하여 河沙(恒河의 모래처럼 많은 세계)에 두루한다 를 들자 스님이 이르되 어찌 이 張拙졸秀才(石霜慶諸의 法嗣)의 말이 아니겠는가. 중이 이르되 그렇습니다. 스님이 이르되 話墮(墮는 負墮임. 곧 論議에서 지는 것)로다. 이 인연이 印本과 語意가 倒錯이다. 혹은 이르기를 장졸은 相公이라 하나니 인해 그 인연을 기록해 학자에게 보인다. 拙은 唐人이니 石霜(慶諸니 道吾宗智의 法嗣. 靑原下四世)을 방문함으로 인해 霜이 물어 가로되 公은 무슨 姓인가. 가로되 성이 張입니다. 무슨 이름인가. 가로되 이름이 拙입니다. 霜이 가로되 巧를 찿아도 마침내 가히 얻지 못하거늘 拙(拙할 졸. 둔할 졸)이 어디로부터 왔는가. 公이 言下에 성찰이 있었고 이에 오도송을 지어 가로되 광명이 寂照하여 河沙에 두루하니/ 凡聖(범부와 성인)과 含靈(心靈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중생을 이르는 말)이 한가지로 내 집이로다/ 한 생각 나지 않으면 전체가 나타나고/ 六根이 겨우 움직이면 구름에 가리움을 입도다./ 번뇌를 斷除하면 거듭 병만 더하고/ 진여로 취향하면 다 이 삿됨이로다/ 衆緣을 隨順해도 罣礙(罣는 걸릴 괘. 거리낄 괘)가 없나니/ 열반과 생사가 이 空花로다.
) -->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2 구마(漚麻) 국사운(國師云) 설법(說法) 응화비진불(應化非眞佛) (0) | 2019.09.03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1 렴섬(簾纖) 무정(無情) 본신로사나(本身盧舍那)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9 시니망각(是你忘却) 거법신설법(擧法身說法) 거삼종인(擧三種人)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8 자리(者裏) 시상가첨(屎上加尖) 밀암(蜜嵓) 편타(便打)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7 백첩(白㲲) 국사간희(國師看戲)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