漚麻▶漚는 거품 구. 담글 구. 原音이 우.
烏侯切 久漬지也
烏侯切이니 오래된 물거품(漬는 담글 지. 거품 지)임.
國師云
當作國師碑文云 第十七板九行上
마땅히 國師碑文云으로 지어야 하나니 第十七板 九行上이다.
說法
身說卽是應化身說 十七板二十二行上 脫九字 見懷和尙本
身說卽是應化身說 十七板 二十二行上에 九字(八字로 의심됨)가 누락했으니 義懷和尙本을 보라.
應化非眞佛
般若金剛論云 應化非眞佛 亦非說法者 說法不二取 無說離言相
반야금강론(金剛般若波羅蜜經論 三卷 無著菩薩造隋 南天竺三藏法師 達摩岌多譯. 卷上)에 이르되 應化(應身과 化身이니 應身은 報身이라고도 일컬음)는 眞佛이 아니며 또한 설법하는 자도 아니다. 설법은 둘로 취하지 못하나니 說도 없고 言의 모양도 여의었다.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4 서자(書字) 명신구신(名身句身) (0) | 2019.09.03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3 곤구(輥毬) 이자(以字) 수완(水椀) 라한서자(羅漢書字)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1 렴섬(簾纖) 무정(無情) 본신로사나(本身盧舍那)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10 거승문(擧僧問) 거광명적조(擧光明寂照)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室中錄 9 시니망각(是你忘却) 거법신설법(擧法身說法) 거삼종인(擧三種人)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