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根性】 根器 禀性 ▲敦煌本壇經 遭難不退 遇苦能忍 福德深厚 方授此法 如根性不堪材量 不得須求本 法 ▲梵琦語錄七 自是你根性遲鈍 干別人什麽事
근성(根性) 근기. 품성. ▲돈황본단경. 곤란을 만나서 물러서지 않으며 고통을 만나서 능히 참으며 복덕이 깊고 두터워야 비로소 이 법을 전수한다. 근성(根性)이 재량(材量)을 감내하지 못할 것 같으면 본법을 수구(須求: 求取)함을 얻지 못한다. ▲범기어록7. 스스로 이 너희의 근성(根性)이 지둔(遲鈍)하거늘 다른 사람에게 무슨 일을 구하겠는가.
) -->
【根隨】 跟隨 根 通跟 ▲宗鏡錄二十五 鬼神 配利使諸見之邊邪 禽蟲 喩鈍使根隨之煩惱
근수(根隨) 근수(跟隨; 뒤를 따라감). 근(根)은 근(跟)과 통함. ▲종경록25. 귀신은 이사(利使)의 제견(諸見)의 변사(邊邪)에 짝하고 금충(禽蟲)은 둔사(鈍使)의 근수(根隨)의 번뇌에 비유한다.
【根識】 ①根器 才識 ▲五燈會元二十參政李邴居士 顧惟根識暗鈍 平生學解 盡落情見 ②阿賴耶識十八名之一 因阿賴耶識爲諸識之根本 故有此稱 [成唯識論了義燈四本] ▲萬法歸心錄中 凡論分別 有其三種 一者 根識初生 隨念分別
근식(根識) ①근기. 재식(才識; 재주와 식견). ▲오등회원20 참정이병거사. 돌아보니 오직 근식(根識)이 암둔하여 평생의 학해가 모두 정견에 떨어졌다. ②아뢰야식 18명(名)의 하나. 아뢰야식이 제식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고로 이 명칭이 있음 [성유식론요의등4본] ▲만법귀심록중. 무릇 분별을 논하자면 그 3종이 있다. 1자는 근식(根識)이 처음 나매 생각 따라 분별한다.
) -->
【勤息】 梵語沙門之譯名 勤行衆善 止息諸惡之義 ▲禪林寶訓音義 沙門 略梵謂也 全謂沙迦門曩 此云勤息 謂勤行善法 息滅諸惡
근식(勤息) 범어 사문(沙門; 梵 śramaṇa)을 번역한 이름이니 뭇 선법을 부지런히 행하다, 모든 악을 그치어 쉬다의 뜻. ▲선림보훈음의. 사문(沙門) 범어를 줄여 이름이다. 전부 이르자면 사가문낭이며 여기에선 이르되 근식(勤息)이다. 이르자면 선법을 근행(勤行; 부지런히 행함)하고 제악을 식멸(息滅)함이다.
) -->
【根緣】 人之根性與境遇之緣務 ▲永嘉禪宗集註上 根緣非唯宿習 見解未預生知
근연(根緣) 사람의 근성과 경우의 연무(緣務; 자기와 인연이 있는 세간의 사무)임. ▲영가선종집주상. 근연(根緣)은 오직 숙습(宿習; 지난 세상에서부터 익혀 온 습관)이 아니며 견해는 생지(生知; 생이지지)에 관계(預)되지 않는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3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2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10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09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08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