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能伏豹
伏豹 當作伏㑃요 於敎切 很흔戾려렬也 見遠浮山錄
) -->
伏豹(豹는 표범 표)는 마땅히 伏㑃(㑃는 拗와 같음. 꺾을 요)로 지어야 하나니 於敎切이며 很戾(很은 甚할 흔. 戾는 비틀 려. 비틀 렬. 곧 매우 비틀음)임. 遠浮山錄을 보라.
) -->
劈▶쪼갤 벽. 나눌 벽.
溥擊切 破也
) -->
溥부擊切이니 破임.
) -->
瞪目▶瞪은 바로 볼 징.
丈證切 直視貌
) -->
丈證切이니 바로 보는 모양임.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拈古 8 불배미륵(不拜彌勒) 간(趕) (0) | 2019.09.04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拈古 7 림제(林際)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拈古 5 참치(參差) 만(瞞) 어목(禦木) 대야(大冶) 등(凳)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拈古 4 백장재참(百丈再參) 조도어로(刁刀魚魯)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拈古 3 선현(船舷) 곤외(閫外) 당단부단(當斷不斷)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