輥毬▶輥은 빨리 구를 곤.
見祖英下
) -->
祖英下(아래 卷第四)를 보라.
) -->
莽鹵▶莽은 우거질 망. 鹵는 거칠 로. 鹽밭 로. 망로는 곧 경솔하고 주의가 부족함임.
上莫補切 下郞古切 不分明貌
) -->
上은 莫補切이며 下는 郞古切이니 불분명한 모양.
) -->
編辟▶辟은 偏僻될 벽. 열 벽. 피할 피.
辟 當作逼 迫也
) -->
辟은 마땅히 逼으로 지어야 하나니 迫임.
) -->
挨▶밀칠 애. 등질 애.
乙諧切 推퇴也 又背負也
) -->
乙諧切이니 推(밀 퇴)임. 또 背負(등지다)임.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36 렵(鬣) 무곤(無裩) 략작(略彴) (0) | 2019.09.04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35 부재(不載) 입류(入流) 방패(霶霈) 성풍(成風) 독안룡(獨眼龍)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33 화산(禾山) 예석(拽石) 반토(般土)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32 초왕성(楚王城) 만한(瞞頇) 약기(藥忌) 정편(正偏) 한로(韓獹) (0) | 2019.09.04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31 부거(芙蕖) 영(嬴) 와보(哇步) 삼현(三玄)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