瑞雪
臘爲瑞 春爲災
) -->
臘(섣달 랍)은 瑞가 되고 春은 災가 됨.
) -->
五六
韓詩外傳云 凡草木花多五出 獨雪花六出
) -->
한시외전에 이르되 무릇 초목의 꽃은 많아도 五出이지만 유독 雪花는 六出이다.
) -->
玉馬
晉書 新蔡王騰 發于幷州 於常山眞定縣 遇天大雪 平地數丈 雪融不積 騰怪而使掘之 得玉馬高數尺
) -->
진서(卷二十八) 신채의 왕등이 幷州에서 출발해 常山의 진정현에서 대설의 하늘을 만났는데 평지의 數丈은 눈이 녹아 쌓이지 않았다. 등이 괴이히 여겨 그곳을 파게 했는데 높이 數尺의 玉馬를 얻었다.
) -->
銅駝
北凉錄云 先酒泉南有銅駝出 言虜犯者 大雨雪 沮渠蒙遜遣工取之 得銅數萬斤
) -->
북량록(北凉은 五胡十六國의 하나. 397-439)에 이르되 먼저 酒泉의 남쪽에서 銅駝의 출현이 있었다. 말하기를 胡虜가 침범하면 크게 눈이 내린다(雨는 내릴 우. 自上而下임) 했다. 저거몽손(북량의 第二代王 재위 401-433)이 工人을 보내 그것을 취했는데 구리 수만 근을 얻었다.
) -->
灣▶물굽이 만. 배 대는 곳 만. 원음이 완.
烏關切 水曲也
) -->
烏關切이니 물굽이임.
) -->
趙州關
諗심和上示衆云 趙州關也難過 僧云 如何是趙州關 師云 石橋是 又問僧云 甚麽處來 南來 師云 還知有趙州關否 僧云 須知有不涉關者 師云 者販私鹽漢 衆中或以庭前栢喫茶去 爲趙州關 誤矣
) -->
從諗和上(778-897. 조주의 이름이 從諗심)이 시중해 이르되 趙州關은 또한 통과하기 어렵다. 중이 이르되 무엇이 이 조주관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石橋가 이것이니라. 또 중에게 물어 이르되 어느 곳에서 오느냐. 남쪽에서 옵니다. 스님이 이르되 도리어 조주관이 있음을 아느냐. 중이 이르되 모름지기 關에 건너지 않는 자가 있는 줄 아셔야 합니다. 스님이 이르되 이 私鹽을 판매하는 놈아. 衆中에 혹은 庭前栢이나 喫茶去로써 조주관을 삼음은 誤임.
) -->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55 연수망망(煙水茫茫) (0) | 2019.09.05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54 령사(靈槎)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52 압(狎)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51 도화(桃花)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50 소흑백(疏黑白)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