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古情
當作合古情 見它本
마땅히 合古情으로 지어야 하나니 它本을 보라.
槁木▶槁는 마를 고.
苦皓切 莊子 形固可使如槁木
苦皓切임 장자(內篇 齊物論) 형체가 진실로 가히 槁木 같이 되었다.
膺門
東漢孔融 字文擧 魯國人 孔子二十世孫 年十歲 隨父詣京師 時河南尹李膺 以簡重自居 不妄接士賓 敕外自非當世名人及與通家 皆不得白 融欲觀其人 故造膺門 語門者曰 我是李君通家子弟 門者言之 膺請融曰 高明祖父嘗與僕有恩舊乎 融曰 然 先君孔子與君先人李老君 同德比義 而相師友 則融與君 累世通家 衆坐莫不嘆息 大中大夫陳煒後至 坐中以告煒 煒曰 夫人小而聦了 大未必奇 融應聲曰 觀君所言 將不早慧乎 膺大笑曰 高明必爲偉器
동한(후한)의 孔融은 字가 文擧며 魯國 사람이며 공자의 二十世孫이다. 나이 十歲에 아버지를 따라 京師로 나아갔다. 때에 河南尹인 李膺은 簡重(簡易하고 嚴重함)으로써 自居(自處)하며 망령되이 士賓을 접견하지 않았다. 밖에 칙령해 스스로 당세의 名人이나 그리고 아울러 通家(대대로 서로 친하게 사귀어 오는 집안)가 아니면 다 아룀을 얻지 못하게 했다. 融이 그 사람을 보고 싶었으므로 고로 膺의 문으로 나아가 門者(문지기)에게 말해 가로되 나는 이 李君 通家의 子弟다. 門者가 그것을 말하자 膺이 融을 청해 가로되 高明하신 조부께서 僕(謙辭)과 恩舊(恩義로써 오래 사귀어 온 親交)가 있다. 融이 가로되 그렇습니다. 先君이신 孔子와 그대의 先人이신 李老君(老子의 별칭)은 덕이 같고 義가 견줄 만한지라 서로 스승이며 벗이었습니다. 곧 融과 그대는 累世의 通家올시다. 여러 앉았던 이들이 탄식하지 않음이 없었다. 大中大夫인 陳煒위가 뒤에 이르자 坐中(모여 앉은 여러 사람)이 煒에게 고했다. 위가 가로되 무릇 사람이 작으면서 聦了(聰明)하면 커서는 꼭 기특하지 못한다. 융이 소리에 응해 가로되 그대의 말하는 바를 보건대 또한 일찍 슬기로움이 아니겠습니까. 膺이 대소하며 가로되 高明은 반드시 위대한 그릇이 되리라.
眹兆▶眹은 빌미 진. 兆朕 진. 兆는 조짐 조.
上直引切 吉凶形兆也
上은 直引切이니 길흉의 형상이며 兆朕임.
鶴樹
涅槃經 爾時世尊 娑羅林下 寢臥寶牀 於其中夜 入第四禪 寂然無聲 於是時頃 便般涅盤 入涅槃已 其娑羅林東西二雙 合爲一樹 南北二雙合爲一樹 垂覆부寶牀 蓋覆如來 其樹卽時慘然變白 猶如白鶴 枝葉花果皮幹 悉皆爆烈墮落 漸漸枯悴췌摧朽無餘
열반경(大般涅槃經後分卷上) 이때 세존이 娑羅林(번역하면 堅固林임) 아래에서 寶牀에 잠들어 누우셨다. 그 中夜에 第四禪(色界四禪天의 第四天으로 가장 높은 곳. 新譯은 第四靜慮)에 들어 寂然해 소리가 없더니 이때 쯤에 곧 般涅盤(열반과 같은 뜻. 滅度로 번역함)하셨다. 열반에 드신 다음 그 사라림의 동서 二雙이 합쳐 한 나무가 되었고 남북 二雙이 합쳐 한 나무가 되어 드리워져 寶牀을 덮더니 여래를 蓋覆부(덮음)했다. 그 나무가 즉시 慘然(慘은 슬플 참. 慘酷혹할 참)하더니 희게 변했는데 마치 白鶴 같았으며 枝葉과 花果와 皮幹(껍질과 줄기)이 다 모두 爆烈해 타락하고 점점 枯悴(悴는 파리할 췌)하더니 꺾이고 썩어 나머지가 없었다.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69 추로(鶖鷺) (0) | 2019.09.05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68 쌍부(雙趺)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66 항(頏)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65 가사(袈裟)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三 雪竇祖英上 64 현사(玄沙)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