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體】 如金剛堅固之身體 ▲萬善同歸集中 能以無常體得金剛體 以不堅身易堅固身
금강체(金剛體) 금강과 같이 견고한 신체. ▲만선동귀집중. 능히 무상체(無常體)로 금강체(金剛體)를 얻고 견고하지 못한 몸을 견고한 몸으로 바꾼다.
【金剛慧】 解除執著 了悟實相的智慧 ▲傳燈錄三十荷澤大師顯宗記 妙中之妙卽妙法身 天中之天乃金剛慧
금강혜(金剛慧) 집착을 해제하고 실상을 요오하는 지혜. ▲전등록30 하택대사 현종기. 묘 중의 묘는 곧 묘법신이며 천 중의 천은 곧 금강혜(金剛慧)다.
) -->
【禽經】 作者春秋時期師曠 全文三千餘字 是作者在參閱前人有關鳥類著述的基礎上 總結宋代以前的鳥類知識 包括命名 形態 種類 生活習性 生態等內容 [百度百科] ▲禪林疏語考證三 事文後集 引禽經云 慈烏曰孝鳥 長則返哺其母
금경(禽經) 작자는 춘추시기의 사광(師曠). 전문 3천여 자. 이는 작자가 전인(前人)의, 조류에 유관한 저술을 참열한 기초상에서 송대 이전의 조류 지식을 총결하여 명명ㆍ형태ㆍ종류ㆍ생활습성ㆍ생태 등의 내용을 포괄했음 [백도백과]. ▲선림소어고증3. 사문후집 금경(禽經)을 인용해 이르되 자오(慈烏)를 가로되 효조(孝鳥)니 성장하면 곧 그 어미를 반포(返哺)한다.
) -->
【錦鏡】 池名 在浙江省明州寧波雪竇山中 虛堂語錄七詩題有錦鏡
금경(錦鏡) 못 이름임. 절강성 명주 영파 설두산 가운데 있음. 허당어록7의 시제(詩題)에 금경(錦鏡)이 있음.
) -->
【金經祕藏】 指珍貴的佛敎經典 ▲宋高僧傳八曇璀傳 遂勉節出塵 栖心物表 金經祕藏一日萬言 不逾歲敘而大經淹通
금경비장(金經祕藏) 진귀한 불교경전을 가리킴. ▲송고승전8 담최전. 드디어 면절(勉節)하여 출진했다. 마음을 물표(物表; 物外)에 쉬면서 금경비장(金經祕藏)을 하루에 만언(萬言)씩, 세서(歲敘)를 넘지 않고 대경에 엄통(淹通: 精通)했다.
) -->
【禁戒】 佛爲防止弟子身口意之過非 而制定之戒律 ▲續燈存稾七中峰明本 又有一等顢頇佛性儱侗眞如者 日用遇一切境界 只作一箇道理硬自排遣 乃至破律儀 犯禁戒 皆無忌憚
금계(禁戒) 불타가 제자의 신ㆍ구ㆍ의의 과비(過非; 과실과 비행)를 방지하기 위해 제정한 계율. ▲속등존고7 중봉명본. 또 일등(一等; 一樣)의, 불성을 만한(顢頇)하고 진여를 농동(儱侗)하는 자가 있어 일용에 일체 경계를 만나면 다만 일개의 도리를 지어 강경하게 스스로 배견(排遣)하나니, 내지 율의를 깨뜨리고 금계(禁戒)를 범하면서 모두 기탄이 없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8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7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5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4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3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