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38쪽

태화당 2019. 5. 9. 11:47

禁錮禪林疏語考證一 前武帝紀曰 諸禁錮及有過者 咸蒙厚賞 禪林疏語考證一 名韁利鎖長爲禁錮之因

금고(禁錮) 선림소어고증1. 전한 무제기(武帝紀)에 가로되 모든 금고(禁錮) 및 과오가 있는 자가 모두 후상(厚賞)을 받았다. 선림소어고증1. 명강이쇄(名韁利鎖; 명예의 고삐와 이득의 쇠사슬)는 늘 금고(禁錮)의 원인이 된다.

) --> 

金膏釋氏六帖十九 西域傳云 龍猛菩薩有金膏 硯中磨 用筆點石銅鐵 皆成紫金 此術不傳於世 禪門諸祖師偈頌下之上 龍猛金膏雖未作 孫登土窟且相宜

금고(金膏) 석씨육첩19 서역전에 이르되 용맹보살에게 금고(金膏)가 있었는데 벼루 가운데서 갈아 붓을 써서 돌ㆍ구리ㆍ쇠에 점을 찍으면 모두 자금(紫金)을 이룬다. 이 기술이 세상에 전해지지 않았다. 선문제조사게송하지상. 용맹(龍猛)의 금고(金膏)는 비록 만들지 못했지만 손등(孫登)의 토굴은 다만 상의(相宜; 적합)하다.

) --> 

金谷禪門拈頌集第一一七則 拈頌說話曰 金谷 石崇居處 法華文句記六 如晉書云 石崇有金谷 在洛陽東 禪門拈頌集第一一七則 霅溪益頌 金谷春光長滿眼 紅藥花梢香爛熳 昨日西風一陣寒 遍地殘芳落何限 王孫醉倒不知歸 猶向欄邊索金盞

금곡(金谷) 선문염송집 제1017. 염송설화에 가로되 금곡(金谷)은 석숭의 거처다. 법화문구기6. 예컨대() 진서에 이르되 석숭에 금곡(金谷)이 있으니 낙양의 동에 있다. 선문염송집 제1017. 삽계익이 송하되 금곡(金谷)의 춘광이 늘 눈에 가득한데/ 붉은 약화(藥花)의 가지 끝에 향이 난만하다/ 작일에 서풍의 1진이 차더니/ 온 땅에 남은 향기가 떨어짐을 어찌 한정하리오/ 왕손(王孫)이 취해 넘어져 귀가를 알지 못하면서/ 오히려 난간 가를 향해 금잔을 찿는구나.

) --> 

金科禪林疏語考證一 金科 楊雄劇秦美新曰 懿律嘉量 金科玉條 註 法令也 禪林疏語考證一 仰觀璿曆漸屆更新之辰 俯演金科小修送故之典

금과(金科) 선림소어고증1. 금과(金科) 양웅의 극진미신(劇秦美新)에 가로되 의율가량(懿律嘉量; 아름다운 법률과 度量)이며 금과옥조다. () 법령이다. 선림소어고증1. 선력(璿曆; 책력)을 우러러보매 점차 경신(更新)의 날에 이른지라 금과(金科)를 부연(俯演)하여 송고(送故; 送舊)의 전(; 法典)을 조금 닦는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