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룡사(金龍寺) ☞ 김룡사(金龍寺).
) -->
【金縷僧伽梨】 卽金襴袈裟 ▲傳燈錄一 爾時世尊說此偈已 復告迦葉 吾將金縷僧伽梨衣 傳付於汝
금루승가리(金縷僧伽梨) 즉 금란가사임. ▲전등록1. 이때 세존이 이 게를 설해 마치고 다시 가섭에게 고하되 내가 금루승가리의(金縷僧伽梨衣)를 가져다 너에게 전부(傳付)한다.
) -->
【金流】 莊子逍遙遊 大旱金石流土山焦而不熱 謂大旱使金石溶化 後以金流形容酷熱 ▲圓悟語錄四 體竭形消而不變 金流朴散而常存
금류(金流) 장자 소요유. 대한(大旱)에 금석이 흐르고 토산이 타지만 뜨겁지 않다. 이르자면 대한이 금석으로 하여금 용화(溶化; 녹아서 모양이 바뀜)하게 함이니 후에 금류로써 혹독하게 뜨거움을 형용하였음. ▲원오어록4. 체갈형소(體竭形消; 형체가 다하고 형상이 사라짐)해도 불변하고 금류박산(金流朴散)해도 상존한다.
) -->
【金輪】 ①轉輪聖王所感得之七寶之一 此輪寶有金銀銅鐵四種之差等 因之而生金輪王乃至鐵輪王之優劣 唐則天稱金輪聖神皇帝 ▲禪門拈頌集第九則 大覺璉頌 閫內不須分閫外 時淸文物盡同風 大千沙界無違犯 詎出金輪一化中 ②構成器世界之風水金等三輪之一 或空風水金等四輪之一 又作金性地輪地輪地界 古代印度之宇宙論主張 在世界最下爲虛空 虛空之上有風輪 風輪之上復有水輪 水輪之上復有金輪 由有情之業力所感 搏擊水輪 於其上結成金 山海島嶼等現實世界 卽存立於金輪之上 金輪之最下端 稱爲金輪際 [長阿含經十八 大毘婆沙論一三三 瑜伽師地論二 俱舍論十一] ▲汾陽語錄下 九州四海任升騰 卓然直下金輪際
금륜(金輪) ①전륜성왕이 감득하는 바의 7보의 하나. 이 윤보는 금ㆍ은ㆍ동ㆍ철 4종의 차등이 있음. 이로 인해 금륜왕 내지 철륜왕의 우열이 발생함. 당 측천은 일컬어 금륜성신황제(金輪聖神皇帝)라 했음. ▲선문염송집 제9칙. 대각련이 송하되 곤내(閫內)에서 곤외를 나눔이 쓰이지 않나니/ 시절이 청평하니 문물이 다 동풍(同風)이다/ 대천사계에 위범(違犯)이 없거늘/ 어찌 금륜(金輪)의 일화중(一化中)을 나타내리오. ②기세계를 구성하는 풍ㆍ수ㆍ금 등 3륜의 하나. 혹은 공ㆍ풍ㆍ수ㆍ금 등 4륜의 하나. 또 금성지륜(金性地輪)ㆍ지륜지계(地輪地界)로 지음. 고대 인도의 우주론에서 주장하기를 세계의 최하에 있는 게 허공이 되며 허공의 위에 풍륜이 있고 풍륜의 위에 다시 수륜이 있고 수륜의 위에 다시 금륜이 있다 함. 유정의 업력의 소감(所感)으로 말미암아 수륜을 박격(搏擊)하여 그 위에 금을 결성하고 산ㆍ바다ㆍ도서 등의 현실세계가 금륜의 위에 존립함. 금륜의 최하단을 일컬어 금륜제라 함 [장아함경18. 대비바사론133. 유가사지론2. 구사론11]. ▲분양어록하. 구주사해(九州四海)가 승등(升騰; 높이 오름)하는 대로 맡기나니 탁연(卓然)했다가 바로 금륜제(金輪際)로 내려간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9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6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5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4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