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輪王】 佛經中有轉輪聖王 分爲金銀銅鐵四等 持金輪者卽金輪王 爲第一等 參金輪 △俱舍論十二 謂鐵輪王王一洲界 銅輪王二 銀輪王三 若金輪王王四洲界 ▲祖堂集三慧忠 禪師曰 是我宗門中銀輪王嫡子 金輪王孫子方始得繼續 不墜此門風 是你三家村裏男女 牛背上將養底兒子 作摩生投這个宗門 不是你分上事
금륜왕(金輪王) 불경 중에 전륜성왕이 있으며 분류해 금ㆍ은ㆍ동ㆍ철의 4등으로 삼음. 금륜을 가진 자가 곧 금륜왕이며 제1등이 됨. 금륜을 참조하라. △구사론12. 이르자면 철륜왕은 1주계(一洲界)에 왕 노릇하고 동륜왕은 2며 은륜왕은 3이며 이에 금륜왕은 4주계에 왕 노릇한다. ▲조당집3 혜충. 선사가 가로되 이 우리 종문 중에선 은륜왕의 적자나 금륜왕(金輪王)의 손자라야 비로소 계속함을 얻어 이 문풍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이 너희 3가촌 속의 남녀가, 소 등 위에서 장양한 아이가 어떻게 이 종문에 투신하겠는가. 이 너희의 분상의 일이 아니다.
) -->
【金輪際】 自水面至八萬由旬之下 有厚三億二萬由旬之金輪 此金輪之所在謂之金輪際 [俱舍論十] 參金輪 ▲無異廣錄六 於金輪際 探不二之眞源 向香積界中 摶無殊之法食
금륜제(金輪際) 수면으로부터 8만 유순의 아래에 이르면 두께가 3억2만 유순의 금륜이 있으며 이 금륜의 소재를 일컬어 금륜제라 함 [구사론10]. 금륜을 참조하라. ▲무이광록6. 금륜제(金輪際)에서 불이(不二)의 진원(眞源)을 탐색하고 향적계 가운데를 향해 다름이 없는 법식(法食)을 뭉친다.
) -->
【金輪和尙】 唐代僧 得法於南嶽金輪可觀(嗣雪峰義存) 後依師住南嶽 [傳燈錄二十二]
금륜화상(金輪和尙) 당대승. 남악의 금륜가관(설봉의존을 이었음)에게서 득법했으며 후에 스승에게 의지하며 남악에 거주했음 [전등록22].
) -->
【金陵】 江蘇金陵 又江寧 建業 建康 應天府 南京等稱之 吳 東晉 宋 齊 梁 陳 明等之都邑 鍾山靈谷寺 攝山棲霞寺 鳳山天界寺 石頭山淸涼寺 上下瓦官寺 牛頭山弘覺寺 幽棲山祖堂寺等中國禪宗大叢林 在此集中 [金陵梵刹志 讀史方輿紀要二十]
금릉(金陵) 강소 금릉이니 또 강녕ㆍ건업ㆍ건강ㆍ응천부ㆍ남경 등으로 호칭함. 오ㆍ동진ㆍ송ㆍ제ㆍ양ㆍ진ㆍ명 등의 도읍. 종산 영곡사ㆍ섭산 서하사ㆍ봉산 천계사ㆍ석두산 청량사ㆍ상하와관사(上下瓦官寺; 상와관사와 하와관사)ㆍ우두산 홍각사ㆍ유서산 조당사 등 중국선종의 대총림이 여기에 집중해 있음 [금릉 범찰지. 독사방여기요20].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1쪽 (0) | 2019.05.0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0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8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7쪽 (0) | 2019.05.0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46쪽 (0) | 201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