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1쪽

태화당 2019. 5. 9. 15:42

金履祥(1232-1303) 字吉父 號次農 自號桐陽叔子 蘭溪(今浙江省蘭溪市桐山後金村)人 宋元之際的學者 爲浙東學派 金華學派的中堅 北山四先生之一 學者尊稱爲仁山先生 [百度百科] 元賢廣錄三十 劉因 金履祥 許謙 皆隱居不仕 授徒著書 其學術祖述考亭

금리상(金履祥) (1232-1303) 자는 길보며 호는 차농이며 자호가 동양숙자니 난계(지금의 절강성 난계시 동산 후금촌) 사람. 송ㆍ원 때의 학자. 절동학파와 금화학파의 중견이니 북산 4선생의 하나. 학자들이 존칭하여 인산선생이라 함 [백도백과]. 원현광록30. 유인ㆍ금리상(金履祥)ㆍ허겸은 모두 은거하며 벼슬하지 않았으며 저서를 도중에게 주었다. 그들의 학술은 고정(考亭)을 조술(祖述)했다.


錦鱗魚的美稱 頌古聯珠通集二十三 錦鱗觸散波心月

금린(錦鱗) 물고기의 미칭. 송고연주통집23. 금린(錦鱗)이 파도 가운데의 달을 촉산(觸散; 부딪쳐 흩어지게 함)하다.

) --> 

金明旭淸代臨濟宗僧洪旭 住嘉興金明寺 詳見洪旭

금명욱(金明旭) 청대 임제종승 홍욱이 가흥 금명사에 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홍욱(洪旭)을 보라.


金明池北宋時鑿成 在開封東京城 禪門拈頌集第七五一則 佛鑑勤頌 城南措大騎驢子 市北郞君跨馬兒 各各四蹄俱著地 三春同到金明池

금명지(金明池) 북송 시 굴착해 이루었음. 개봉 동경성에 있음. 선문염송집 제751. 불감근이 송하되 성남의 조대(措大)가 나귀를 탔고/ 시북(市北)의 낭군은 말을 탔다/ 각각 네 발굽이 착지했으며/ 삼춘에 함께 금명지(金明池)에 이르렀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