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味
智論云 百味 有人言 能以百種供養 是名百味 有人言 餅種數五百 其味有百 是名百味 有人言 百種藥草作歡喜丸 是名百味 有人言 飯食羮餅總有百味 有人言 飮食種種備足 故稱爲百味
) -->
智論(卷第九十三)에 이르되 百味를 어떤 사람은 말하되 능히 百種으로써 공양하므로 이 이름이 백미다. 어떤 사람은 말하되 떡 종류의 수가 五百이며 그 맛이 百이 있으므로 이 이름이 백미다. 어떤 사람은 말하되 百種의 약초로 歡喜丸(涅槃經卷第三十九에 이르되 酥 麵 蜜 薑 胡椒초 蓽茇 蒲萄 胡桃 石榴 桵유子 이와 같은 것을 和合한 게 이름이 歡喜丸이다)을 짓는지라 이 이름이 백미다. 어떤 사람은 말하되 飯食(밥)과 국과 떡에 모두 百味가 있다. 어떤 사람은 말하되 음식을 갖가지 備足했으므로 고로 일컬어 百味라 한다.
) -->
磨膏
未詳
) -->
미상임.
) -->
鎧歌▶鎧는 갑옷 개.
當作覬歌 苦亥切 見祖英▶覬(바랄 기)는 마땅히 凱(싸움 이긴 풍류 개)로 지어야 함.
) -->
마땅히 凱歌로 지어야 하나니 苦亥切임. 祖英(위 卷第四)을 보라.
) -->
艨䑳▶艨은 싸움배 몽. 䑳은 배 륜.
音蒙倫 戰船也
) -->
음이 몽륜이니 戰船임.
) -->
杓卜▶杓은 구기 작. 북두자루 표.
風俗拋포杓以卜吉凶者 謂之杓卜
) -->
풍속에 구기를 던져 길흉을 점치는 것을 이를 일러 杓卜이라 함.
) -->
蟾語▶蟾은 두꺼비 섬.
當作讝 音詹첨 寐語也
) -->
마땅히 讝(헛소리 섬)으로 지어야 하나니 음이 詹첨이며 잠꼬대임.
) -->
菽麥▶菽은 콩 숙. 麥은 보리 맥.
上式竹切 豆也
) -->
上은 式竹切이니 콩임.
) -->
盲枷▶枷는 도리깨 가.
音茄 柫也
) -->
음이 가니 柫(도리깨 채 불)임.
) -->
早二三
當作恰二三
) -->
마땅히 恰二三으로 지어야 함.
問那堪
當作問那憨
) -->
마땅히 問那憨(憨은 어리석을 감)으로 지어야 함.
) -->
?▶속일 하. 諕하와 같음.
正作?하 與謔학同 呼訝切 誑也▶謔은 諕로 의심됨.
) -->
바로 ?(속일 하)로 지어야 하나니 諕(속일 하)와 같음. 呼訝아切이니 속임임.
) -->
雋▶뛰어날 준. 俊과 통함. 새 살찔 준.
當作俊 才千人也 或从人作儁준 雋 粗조兖연切 非義
) -->
마땅히 俊으로 지어야 하나니 千人의 재주임. 혹은 人을 좇아 儁(준걸 준)으로도 지음. 雋은 粗조兖연切이니 뜻이 아님(雋은 俊과 통하므로 可用).
) -->
天然
見祖英上揜엄耳
) -->
祖英上의 揜耳(위 卷第三)를 보라.
) -->
示衆
僧問萬法歸眞 遂以二頌答 當取示衆一頌歸此頌後 卽無示衆之題 竝見臨濟宗泒集▶泒고는 마땅히 派로 지어야 함.
) -->
중이 만법이 眞으로 돌아감을 묻자 드디어 二頌으로써 답했음. 마땅히 시중한 一頌을 취해 이 송의 뒤로 돌려야 함. 곧 示衆의 제목이 없으니 아울러 臨濟宗派集을 보라.
) -->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法眼 1 능인(能仁) (0) | 2019.09.07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風穴衆吼集 45 외생(?甥) (0) | 2019.09.07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風穴衆吼集 43 괴뢰(傀儡) (0) | 2019.09.07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風穴衆吼集 42 삼전법륜(三轉法輪) (0) | 2019.09.07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風穴衆吼集 41 검령지공(劍嶺誌公) (0) | 2019.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