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83쪽

태화당 2019. 5. 10. 09:03

錦標本是錦制的標旗 後泛指授給競賽優勝者的獎品 如錦旗銀杯等 五燈會元十八兜率慧照 饑餐渴飮無窮樂 誰愛爭先奪錦標

금표(錦標) 본시 비단으로 만든 표기(標旗)니 후에 널리 경새(競賽; 우승을 쟁취함)에서 우승한 자에게 수급(授給; 주다)하는 장품(獎品; 장려하는 물품)을 가리켰음. 오등회원18 도솔혜조. 주리면 먹고 목마르면 마시는 무궁한 낙이거늘 누가 선두를 다투며 금표(錦標)를 탈취함을 좋아하는가.

) --> 

錦標子錦標 子 後綴 五燈會元十六九座慧邃 有箇錦標子 且道 在甚麽人手裏

금표자(錦標子) 금표니 자는 후철. 오등회원16 구좌혜수. 금표자(錦標子)가 있다. 그래 말하라, 어떤 사람의 손 안에 있는가.

) --> 

金風秋風也 雲門廣錄上 問 樹凋葉落時如何 師云 體露金風

금풍(金風) 추풍임. 운문광록상. 묻되 나무가 시들고 잎이 떨어졌을 때는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금풍(金風)이 체로(體露; 드러나다)했다.


擒下捉拿 下 表示動作的完成或結果 頌古聯珠通集二十三 不費纖毫力 擒下天麒麟

금하(擒下) 착나(捉拿; 붙잡다. 체포하다). ()는 동작의 완성이나 혹 결과를 표시함. 송고연주통집23. 가는 터럭만큼의 힘도 쓰지 않고 천기린(天麒麟)을 금하(擒下)했다.

) --> 

金河釋迦如來成道記註下 拘尸羅城多産有力之士 諸國無敵 故號力士生地 梵云㕧離剌拏伐底 或訛略云跋提 華言有金河 是産閻浮檀金處 水之淨莫過此河 梁僧宗法師云 佛來此河邊入滅有意 禪門諸祖師偈頌上之下釋迦如來成道記 繇是指力地詣金河

금하(金河) 석가여래성도기주하. 구시라성에선 유력한 남자가 많이 태어나며 제국에서 무적인지라 고로 호하기를 역사생지(力士生地). 범어로 이르되 히리랄나벌지(㕧離剌拏伐底)는 혹 와략(訛略)하여 이르되 발제(跋提)니 화언으론 유금하(有金河). 이는 염부단금(閻浮檀金)이 생산되는 곳이며 물의 맑기가 이 하()를 지날 것이 없다. () 승종법사가 이르되 불타가 이 하변에 와서 입멸함은 뜻이 있다. 선문제조사게송상지하 석가여래성도기. 이로 말미암아 역지(力地)를 가리키며 금하(金河)로 나아갔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