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84쪽

태화당 2019. 5. 10. 09:04

禁夏不禁冬佛敎徒在夏季(一般從四月十五日 至七月十五日) 須在寺院內修行 不得外出遊方行脚 卽實行禁夏 則不禁冬 五燈會元十一寶壽 南方禁夏不禁冬 我此間禁冬不禁夏 汝且作街坊過夏

금하불금동(禁夏不禁冬) 불교도가 하계(일반으로 415일로부터 715일에 이르기까지)에 반드시 사원 안에 있으면서 수행하고 외출하여 유방하거나 행각함을 얻지 못함. 곧 금하(禁夏)를 실행함이며 곧 금동이 아님. 오등회원11 보수. 남방에선 금하하고 금동하지 않으며(禁夏不禁冬) 나의 차간(此間)에선 금동하고 금하하지 않는다. 너는 다만 가방(街坊)에서 과하(過夏)하라.

) --> 

金華洞天卽浙江省婺州金華山 唐杜光庭洞天福地記所載有十大洞天及三十六小洞天 金華在小洞天 虛堂語錄七 遊金華洞天 颼颼崖溜靜邊聞 到此仙凡咫尺分 鶴駕朝眞何日返 洞門終日鎖寒雲

금화동천(金華洞天) 곧 절강성 무주 금화산임. 당 두광정의 동천복지기에 실린 바에 16동천 및 36소동천이 있는데 금화는 소동천에 있음. 허당어록7. 유금화동천(遊金華洞天; 금화동천을 유람하다) 수수(颼颼; 象聲詞)한 언덕의 급류를 고요한 쪽에서 듣나니/ 여기에 이르러선 선범(仙凡; 선인과 범부)이 지척의 분계(分界)/ 학가(鶴駕)로 조진(朝眞)하더니 어느 날에 돌아오려나/ 동문(洞門)에 종일 한운(寒雲)이 에워쌌다.


金華山位於浙江省婺州金華縣北二十里 亦稱長山 常山 金盆山 唐代天龍法嗣俱胝 久住此山 宋代僧惟勉亦住此山而編咸淳淸規 [大明一統志四十二 大淸一統志二十三 讀史方輿紀要九十三]

금화산(金華山) 절강성 무주 금화산 북쪽 20리에 위치함. 또 명칭이 장산ㆍ상산ㆍ금분산. 당대 천룡의 법사 구지(俱胝)가 오래 이 산에 거주했으며 송대승 유면도 일찍이 이 산에 거주하면서 함순청규를 편찬했음 [대명일통지42. 대청일통지23. 독사방여기요93].

) --> 

金華聖者豬頭和尙 松源語錄下 金華聖者 千兵不若一將 伎倆何如帳樣 不識古佛定光 稽首猪頭和尙

금화성자(金華聖者) 저두화상을 가리킴. 송원어록하. 금화성자(金華聖者) 천 명의 병사가 한 장군만 같지 못하거늘/ 기량이 어찌 장막의 모양과 같은가/ 고불 정광(定光)을 알지 못하나니/ 저두화상에게 계수한다.

) --> 

金華天寧寺位於浙江金華市 舊名大藏院 創建於宋大中祥符(1008-101 6)年間 政和(1111-1117)年間 賜名天寧萬壽禪寺 元延祐五年(1318)重建

금화천녕사(金華天寧寺) 절강 금화시에 위치함. 옛 이름은 대장원이었음. 송 대중상부(1008-1016)년 간에 창건하였고 정화(1111-1117)년 간, 천녕만수선사란 이름을 주었음. 원 연우 5(1318) 중건했음.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