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5쪽

태화당 2019. 4. 30. 06:17

杆格有抵觸 互相抵觸 格格不入的含義 禪門鍛鍊說 初機參學者 話大艱深 必然杆格

간격(杆格) 저촉이 있음. 호상 저촉함. 격격(格格; 저촉)하여 들어가지 못함의 뜻을 함유. 선문단련설. 초기의 참학자는 ()가 매우 어렵고 깊으므로 필연히 간격(杆格)하리라.


慳結五結之一 九結之一 慳惜己身命財寶之煩惱也 禪林疏語考證一 九結 阿毘達磨集論云 一愛結 二恚結 三慢結 四無明結 五見結 六取結 七疑結 八嫉結 九慳結

간결(慳結) 5결의 하나. 9결의 하나. 자기의 신명과 재보를 아끼는 번뇌임. 선림소어고증1. 9(九結) 아비달마집론에 이르되 1. 애결. 2. 에결. 3. 만결. 4. 무명결. 5. 견결. 6. 취결. 7. 의결. 8. 질결. 9. 간결(慳結).

 

簡徑簡明直截 普燈錄二十五別峰印 不妨簡徑 不妨綿密

간경(簡徑) 간명하면서 직절(直截). 보등록25 별봉인. 간경(簡徑)함에 거리끼지 않으며 면밀함에 거리끼지 않는다.

 

看經禪家謂讀經也 五燈會元十靈隱玄本 看經不識經 徒勞損眼睛 欲得不損眼 分明識取經

간경(看經) 선가에서는 독경을 말함. 오등회원10 영은현본. 간경(看經)하면서 경을 알지 못하면/ 도로 눈동자를 손상하나니/ 눈을 손상하지 않음을 얻으려 하거든/ 분명히 경을 식취(識取)하라.

 

幹蠱禪林疏語考證二 易蠱初六 幹父之蠱 有子考無咎 厲終吉 九二 幹母之蠱 不可貞 禪林疏語考證二 允爲幹蠱之休 大作盈門之慶

간고(幹蠱) 선림소어고증2. 역 간() 초륙(初六) 간부지고(幹父之蠱; 承擔從事, 사업) 아들이 있다. 아버지가 허물이 없다. 엄려(嚴厲)하여 마침내 길하다. 구이(九二) 간모지고(幹母之蠱) 가히 정()하지 못하다. 선림소어고증2. 진실로 간고(幹蠱)의 아름다움이 되는지라 영문(盈門)의 경사를 크게 지으리라.

看孔儱著楔同看孔著楔 孔儱 孔 圓悟語錄六 不可說浮幢王刹 揑爲微塵 一一塵中現無邊身說無量法 猶只是順機應敎 看孔儱著楔

간공롱착설(看孔儱著楔) 간공착설과 같음. 공롱(孔儱)은 구멍. 원오어록6. 불가설의 부당왕찰(浮幢王刹)을 모아 미진으로 만들고 낱낱 미진 중에 무변한 몸을 나타내어 무량한 법을 설하더라도 오히려 다만 이는 근기를 따르고 가르침에 응함이며 공롱(孔儱)을 보고 쇄기를 박음이다(看孔儱著楔).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