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9쪽

태화당 2019. 4. 30. 06:58

簡在】 ①禪林疏語考證一 書湯誥曰 惟簡在上帝之心 註 簡 閱也 禪林疏語考證一 天眷常荷寵光 帝臣默孚簡在 指存在 圓悟語錄四 膺一人簡在 副四海具瞻

간재(簡在) 선림소어고증1. (서경) 탕고에 가로되 오직 상제(上帝)의 마음이 간재(簡在)한다. () ()은 열()이다. 선림소어고증1. 천권(天眷)이 늘 총광을 입고(荷寵光) 제신(帝臣)은 묵묵히 간재(簡在)를 믿는다. 존재를 가리킴. 원오어록4. 한 사람의 간재(簡在)를 접수()하여 사해(四海)의 구첨(具瞻)에 부이(副貳)한다.

 

看轉與轉讀同義 禪苑淸規六看藏經 分付看轉 此事極好

간전(看轉) 전독(轉讀)과 같은 뜻. 선원청규6 간장경. 간전(看轉)을 분부하니 이 일이 극히 아름답다.

 

簡浙客宋代法眼宗僧淸簡 爲事孤潔 又是杭州人 故世稱簡浙客 詳見淸簡 五燈會元十天童淸簡 錢塘張氏子 師爲事孤潔 時謂之簡浙客

간절객(簡浙客) 송대 법안종승 청간이 일을 하매 고결했으며 또 이 항주 사람인지라 고로 세칭 간절객이니 상세한 것은 청간(淸簡)을 보라. 오등회원10 천동청간. 전당 장씨의 아들이다. 스님이 일을 하매 고결했으므로 당시에 이르기를 간절객(簡浙客)이라 했다.

 

簡點檢查 五燈嚴統二十昭覺紹淵 仔細簡點將來 大似與賊過梯

간점(簡點) 검사. 오등엄통20 소각소연. 자세히 간점(簡點)하여 가져오매 도적에게 사다리를 건네 줌()과 매우 흡사하다.

 

簡州今四川簡陽 隋開皇三年(583)[百度百科] 五家正宗贊一德山見性禪師 師諱宣鑑 嗣龍潭 簡州人

간주(簡州) 지금의 사천 간양. 수 개황 3(583)에 설치했음 [백도백과]. 오가정종찬1 덕산견성선사. 스님의 휘는 선감이며 용담을 이었으며 간주(簡州) 사람이다.


簡直】 ①簡約直截 傳燈錄十一香嚴智閑 師凡示學徒語多簡直 簡單直率 禪林寶訓一大覺璉 大覺曰 舜老夫賦性簡直 不識權衡貨殖等事 日有定課曾不少易 雖炙燈掃地 皆躬爲之

간직(簡直) 간약(簡約)하고 직절(直截). 전등록11 향엄지한. 스님이 무릇 학도에게 보이는 언구는 다분히 간직(簡直)했다. 간단하고 직솔함. 선림보훈1 대각련. 대각이 가로되 순노부는 부성(賦性; 천성)이 간직(簡直)했으며 권형(權衡)과 화식(貨殖; 재물을 늘림) 등의 일을 알지 못했다. 날마다 정한 일과가 있어 조금도 바꾸지 않았다. 비록 등을 켜거나 땅을 쓰는 것도 다 몸소 했다.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