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簡衷】 正大 ▲緇門警訓一 理懷簡衷多所博涉
간충(簡衷) 정대(正大). ▲치문경훈1. 사리(事理)는 간충(簡衷)을 품었고 많이 박섭(博涉)한 바였다.
【看取】 觀察 取 後綴 ▲祖堂集七雪峰 師示衆云 南山有鼈鼻蛇 是你諸人好看取
간취(看取) 관찰. 취는 후철. ▲조당집7 설봉. 스님이 시중해 이르되 남산에 별비사(鼈鼻蛇)가 있으니 이 너희 제인은 잘 간취(看取)하라.
【看他人食終自不飽】 喩他人省悟幷非自己省悟 必須自修自悟 ▲祖堂集三慧忠 衆生與佛雖同一性 不妨各各自修自得 看他人食 終自不飽
간타인식종자불포(看他人食終自不飽) 타인의 성오(省悟)는 모두 자기의 성오가 아님을 비유함이니 반드시 스스로 닦고 스스로 깨쳐야 함. ▲조당집3 혜충. 중생과 부처가 비록 동일한 성품이지만 각각 스스로 닦고 스스로 얻어야 함에 거리끼지 않는다. 타인의 식사를 보고는 마침내 스스로 배부르지 않는다(看他人食 終自不飽).
【慳貪】 惜物而不與人 貪求而無飽足之心 ▲證道歌註(彦琪) 布施度慳貪 持戒度毁犯
간탐(慳貪) 재물을 아껴 남에게 주지 않으며 탐하고 구하면서 포족(飽足; 만족)한 마음이 없음. ▲증도가주(언기). 보시는 간탐(慳貪)을 제도하고 지계는 훼범(毁犯)을 제도한다.
【幹辦】 謂有才幹而能辦事 ▲禪林寶訓拈頌 能謀能斷 精於幹辦
간판(幹辦) 이르자면 재간이 있어 능히 일을 판별함. ▲선림보훈염송. 능히 모의하고 능히 판단하여 간판(幹辦)에 정통하다.
【簡編】 一內容簡略的著作 二泛指書籍 ▲碧巖錄普照序 集成簡編
간편(簡編) 1. 내용이 간략한 저작. 2. 널리 서적을 가리킴. ▲벽암록 보조서. 모아서 간편(簡編)을 이루다.
【看風使帆】 多喩按學人情況之不同 採取相應的接引施設 ▲碧巖錄第九十九則 不見道 善爲師者 應機設敎 看風使帆 若只僻守一隅 豈能回互 看他黃檗老善能接人 遇著臨濟 三回便痛施六十棒 臨濟當下便會去 及至爲裴相國 葛藤忒殺 此豈不是善爲人師
간풍사범(看風使帆) 다분히 학인의 정황의 같지 않음을 살펴서 상응하는 접인의 시설을 채취함에 비유. ▲벽암록 제99칙. 말함을 보지 못했는가, 잘 스승 노릇을 하는 자는 근기에 응해 가르침을 베풀고 바람을 보고서 돛을 부린다(看風使帆) 했다. 만약 다만 한 모퉁이만 편벽되게 지킨다면 어찌 능히 회호(回互)하겠는가, 저 황벽로(黃檗老)의 잘 능히 접인(接人)함을 보아라, 임제를 만나서는 3회에 바로 통렬히 60방을 베풀매 임제가 당하에 바로 깨쳤으며 및 배상국을 위함에 이르러선 갈등이 특쇄(忒殺; 매우 심함)했으니 이것이 어찌 이 잘 사람의 스승 노릇을 함이 아니겠는가.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22쪽 (0) | 2019.04.3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21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9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8쪽 (0) | 2019.04.3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7쪽 (0) | 201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