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8쪽

태화당 2019. 12. 25. 11:30

河漢銀河 五燈會元十六善權慧泰 微雲淡河漢 疏雨滴梧桐

하한(河漢) 은하. 오등회원16 선권혜태. 미운(微雲)이 하한(河漢)에 엷고() 소우(疏雨)가 오동에 방울지다.

) --> 

何限一多少 幾何 二無限 無邊 可湘語錄 元宵上堂 乾紙燃漏燈盞 茫茫蹉過人何限 五燈全書五十三無文燦 近年敕差堂除者何限

하한(何限) 1. 다소. 기하(幾何; 얼마). 2. 무한. 무변. 가상어록. 원소(元宵)에 상당. 건지(乾紙)는 연소(燃燒)하고 등잔은 새는데 망망(茫茫)히 차과(蹉過)하는 사람이 하한(何限). 오등전서53 무문찬. 근년에 칙령으로 당제(堂除)를 파견()하는 것이 하한(何限).

) --> 

下險之憂禪林疏語考證二 下險之憂 易訟卦 訟卦() 彖曰 訟 上剛下險 險而徤訟 傳 訟之爲卦 上剛下險 險而又徤也 又爲險徤相接 內險外徤 皆所以爲訟也 若徤而不險不生訟也 險而不徤不能訟也 險而又徤是以訟也 禪林疏語考證二 非殃橫罹豈勝下險之憂 聖德弘仁爰致中孚之禱

하험지우(下險之憂) 선림소어고증2. 하험지우(下險之憂) 역 송괘(訟卦; ) (; 彖辭. 은 판단할 단)에 가로되 송()은 상()은 강()하고 하()는 험()함이니 험하면서 굳세면() ()한다. () ()의 괘()됨이 상은 강()하고 하는 험()하다. 험하면서 또 건()하다. 또 험과 건이 상접(相接)하고 내험외건(內險外徤)이니 모두 송()이 될 소이(所以). 만약 건하면서 험하지 않으면 송이 발생하지 않는다. 험하면서 건하지 않으면 능히 송하지 못한다. 험하면서 또 건하니 이런 까닭으로 송한다. 선림소어고증2. 비앙(非殃)이 횡리(橫罹)하니 어찌 하험지우(下險之憂)를 이기리오, 성덕(聖德)이 홍인(弘仁)하니 이에 중부지도(中孚之禱)에 이르게 되었다.

) --> 

下弦每月廿二廿三日爲下弦 五燈會元續略四上天奇本瑞 上弦猶不似 下弦亦非堪

하현(下弦) 매월 22, 23일이 하현이 됨. 오등회원속략4상 천기본서. 상현은 오히려 흡사하지 못하고 하현(下弦)도 또한 감내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