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1쪽

태화당 2019. 12. 25. 11:32

學徒又作學者學人 指從師受業之人 於禪宗指學道修禪者 與學生 弟子 門人等語意相同 五燈會元三南泉普願 自此學徒不下數百

학도(學徒) 또 학자, 학인으로 지음. 스승을 좇아 수업하는 사람을 가리킴. 선종에서는 학도(學道)하며 수선(修禪)하는 자를 가리킴. 학생ㆍ제자ㆍ문인 등의 어의(語意)와 상동(相同). 오등회원3 남천보원. 이로부터 학도(學徒)가 수백 아래가 아니었다.

) --> 

學道用心集一卷 全稱永平初祖學道用心集 日本曹洞宗祖道元著 收於大正藏第八十二冊 本書內容 對初機參學者垂示修道之用心 共分第一可發菩提心事至第十直下承當之事等十章 道元示寂百餘年後 始與義雲和尙語錄共同開版 爲日本曹洞宗禪籍開版之濫觴

학도용심집(學道用心集) 1. 전칭이 영평초조학도용심집이니 일본 조동종조 도원(道元)이 지었고 대정장 제82책에 수록되었음. 본서의 내용은 초기 참학자에 대해 수도의 용심(用心)을 수시(垂示)했음. 1 가발보리심사(可發菩提心事)에서 제10 직하승당지사(直下承當之事) 10()으로 공히 분류했음. 도원이 시적한 지 백여 년 후 비로소 의운화상어록과 공동으로 개판(開版)했음. 일본 조동종 선적(禪籍) 개판의 남상(濫觴)이 됨.

) --> 

學道人參禪學道者 虛堂語錄四 學道人若不得一番胡孫子死 如何辨得邪正(胡孫子喩躁動之心)

학도인(學道人) 참선하며 학도하는 자. 허당어록4. 학도인(學道人)이 만약 한 번 호손자(胡孫子; 원숭이)가 죽음을 얻지 못한다면 어떻게 사정(邪正)을 변득(辨得)하겠는가(胡孫子躁動하는 마음에 비유함).

) --> 

學侶參學僧侶 虛堂集第三十二則 洪州上藍令超禪師 初住瑞州上藍山 唱夾山之道 學侶俱會

학려(學侶) 참학하는 승려. 허당집 제32. 홍주 상람 영초선사가 처음 서주 상람사에 주()하면서 협산의 도를 창()했는데 학려(學侶)가 모두 모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