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3쪽

태화당 2019. 12. 25. 11:33

鶴林寺位於江蘇鎭江黃鶴山下 舊名竹林寺 晉大興四年(321)創建 劉宋武帝 改今名 稱鶴林律院 唐開元天寶年間 有玄素禪師法照 得法於牛頭山智威 歸主其地 僧徒日衆 始改爲禪寺 又稱古竹院 宋紹興(1131-1162)年間重建 改稱報恩光孝禪寺

학림사(鶴林寺) 강소 진강 황학산 아래 위치하며 옛 이름은 죽림사였음. () 대흥 4(321) 창건했고 유송(劉宋) 무제가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학림율원이라 일컬었음. 당 개원ㆍ천보년 간 현소선사(玄素禪師) 법조(法照)가 있어 우두산 지위(智威)에게서 득법하고 그 땅에 귀주(歸主)했는데 승도가 날로 많아졌고 비로소 고쳐 선사(禪寺)라 했음. 또 명칭이 고죽원임. 송 소흥(1131-1162)년 간 중건했고 개칭하여 보은광효선사라 했음.

) --> 

鶴林寺志四卷 明代明賢纂輯 明萬曆(1573-1619)年間 許國誠 高一福 修京口三山全志 以鶴林寺志一卷附之 時明賢亦撰本志 搜羅較前志完備 全志略分山川 建置 山界 田土 碑銘 古碣 高僧 人物 紀異(付雜記) 記序 疏文 說 詩等十四門 碑銘古碣尤爲文獻中之珍寶 此志初刻於明萬曆十年(1582) 今收於中國佛寺志全集

학림사지(鶴林寺志) 4. 명대(明代) 명현(明賢)이 찬집(纂輯)했음. 명 만력(1573-1619)년 간 허국성ㆍ고일복이 경구삼산전지(京口三山全志)를 찬수(撰修)하면서 학림사지 1권을 첨부했음. 당시에 명현도 또한 본지(本志)를 찬()했는데 전지(前志)를 수라(搜羅)하여 비교해서 완비했음. 전지(全志)를 대략 산천ㆍ건치ㆍ산계ㆍ전토ㆍ비명ㆍ고갈ㆍ고승ㆍ인물ㆍ기이(付雜記)ㆍ기서ㆍ소문ㆍ설ㆍ시 등 14()으로 분류했음. 비명(碑銘)과 고갈(古碣)은 더욱이 문헌 중의 진보(珍寶)가 됨. 이 지()는 명 만력 10(1582)에 초각(初刻)했고 지금 중국불사지전집에 수록되었음.

) --> 

鶴林素唐代牛頭宗僧玄素 詳見玄素

학림소(鶴林素) 당대 우두종승 현소니 상세한 것은 현소(玄素)를 보라.

) --> 

鶴林天樹植禪師語錄一卷 淸代臨濟宗僧天樹行植說 湛祐編 又稱天樹植禪師語錄 康熙二十八年(1689)刊行 內容輯錄上堂 小參 示衆 頌古 佛事 行實 塔銘 卷首載序 今收錄於嘉興藏第三十七冊

학림천수식선사어록(鶴林天樹植禪師語錄) 1. 청대 임제종승 천수행식(天樹行植)이 설했고 담우가 편()했음. 또 명칭이 천수식선사어록이며 강희 28(1689) 간행했음. 내용은 상당ㆍ소참ㆍ시중ㆍ송고ㆍ불사ㆍ행실ㆍ탑명을 집록했음. 권수에 서가 실렸음. 지금 가흥장 제37책에 수록되었음.

) --> 

鶴林賢淸代臨濟宗僧性賢 字鶴林 詳見性賢

학림현(鶴林賢) 청대 임제종승 성현의 자가 학림이니 상세한 것은 성현(性賢)을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