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光武】 後漢世祖光武皇帝劉秀(前5-57) 字文叔 南陽郡蔡陽縣人 出生於陳留郡濟陽縣 東漢王朝開國皇帝 [百度百科] ▲禪林寶訓音義 中興 廢而復興曰中興也 如漢光武中興漢業也
한광무(漢光武) 후한 세조 광무황제 유수(劉秀; 前 5-57)니 자는 문숙이며 남양군 채양현 사람이며 진류군 제양현에서 출생했음. 동한왕조 개국황제 [백도백과]. ▲선림보훈음의. 중흥(中興) 폐(廢)했다가 부흥(復興)함을 가로되 중흥이다. 예컨대(如) 한광무(漢光武)는 한업(漢業)을 중흥했다.
) -->
【韓駒】 (1080-1135) 北宋末南宋初江西詩派詩人 詩論家 字子蒼 號牟陽 世稱陵陽先生 陵陽仙井(今四川仁壽)人 任至尙書 問道於黃龍派山堂道震禪師 [禪林寶訓音義 百度百科]
한구(韓駒) (1080-1135) 북송말 남송초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시인이며 시론가(詩論家). 자는 자창이며 호는 모양이니 세칭이 능양선생(陵陽先生). 능양 선정(지금의 사천 인수) 사람이며 임직(任職)이 상서에 이르렀음. 황룡파 산당도진선사(山堂道震禪師)에게 도를 물었음 [선림보훈음의. 백도백과].
) -->
【漢國】 指支那 或指大唐 △希麟音義二 支那國 或云眞那 或云震旦 亦云摩訶支那 皆梵語輕重也 舊飜爲漢國 或云卽大唐國也 或飜大夏國 又云思惟國 謂此國人多有智略能思惟故 皆義飜也 ▲祖庭事苑二 西域記飜摩訶支那爲大漢國(西域記五 摩訶至那 此曰大唐) ▲傳燈錄十四汾州石樓 師問僧 發足何處 僧云漢國(石樓 圓悟擊節錄作棗樹 石樓唐代僧 棗樹五代僧 然則漢國或指五代十國之後漢或南漢)
한국(漢國) 지나를 가리킴. 혹 대당(大唐)을 가리킴. △희린음의2. 지나국(支那國) 혹 이르되 진나(眞那)며 혹 이르되 진단(震旦)이며 또한 이르되 마하지나(摩訶支那)니 모두 범어의 경중(輕重)임. 구번(舊飜)은 한국(漢國)이라 했고 혹은 이르되 곧 대당국(大唐國)이며 혹은 번역하기를 대하국(大夏國)이며 또 이르되 사유국(思惟國)이니 이르자면 이 나라 사람들은 지략이 많이 있고 능히 사유하는 연고라 했는데 다 의번(義飜)임. ▲조정사원2. 서역기에 마하지나(摩訶支那)를 번역해 대한국(大漢國)이라 했다(서역기5 마하지나는 여기에선 가로되 大唐이다). ▲전등록14 분주석루. 스님이 중에게 묻되 어느 곳에서 발족(發足)했는가. 중이 이르되 한국(漢國; 石樓를 원오격절록엔 棗樹로 지었음. 石樓는 唐代僧이며 棗樹는 五代僧이니 그러한 즉 漢國은 혹 오대십국의 後漢이나 혹 南漢을 가리킴)입니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7쪽 (0) | 2019.12.25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6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4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3쪽 (0) | 2019.12.25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2쪽 (0) | 2019.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