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0쪽

태화당 2019. 12. 25. 13:30

割鷄之刃喩小刀 虛堂語錄二 僧云 與麽答話 諸方未肯在 師云 割鷄之刃

할계지인(割鷄之刃) 작은 칼에 비유. 허당어록2. 중이 이르되 이러한 답화는 제방에서 긍정하지 않을 것입니다. 스님이 이르되 닭을 베는 칼이다(割鷄之刃).

) --> 

瞎堂遠宋代楊岐派僧慧遠 字瞎堂 詳見慧遠

할당원(瞎堂遠) 송대 양기파승 혜원의 자가 할당이니 상세한 것은 혜원(慧遠)을 보라.

) --> 

瞎堂慧遠禪師廣錄四卷 宋代楊岐派僧瞎堂慧遠說 齊己等編 又稱佛海瞎堂禪師語錄 靈隱佛海禪師語錄 佛海禪師廣錄 佛海慧遠禪師廣錄 瞎堂禪師語錄 卷一 從滁州龍蟠山壽聖禪院 迄浮山鴻福禪寺之九會語錄 卷二 靈隱佛海禪師入內陞座錄 卷三 序 小參普說 法語 機緣 卷四 頌古 讚佛祖 偈頌 自讚 跋 今收錄於卍續藏第一二

할당혜원선사광록(瞎堂慧遠禪師廣錄) 4. 송대 양기파승 할당혜원이 설했고 제기 등이 편()했음. 또 명칭이 불해할당선사어록ㆍ영은불해선사어록ㆍ불해선사광록ㆍ불해혜원선사광록ㆍ할당선사어록. 1은 저주 용반산 수성선원으로부터 부산 홍복선사에 이르기까지의 9() 어록. 2는 영은불해선사입내승좌록. 3은 서()ㆍ소참보설ㆍ법어ㆍ기연. 4는 송고ㆍ찬불조ㆍ게송ㆍ자찬ㆍ발. 지금 만속장 제120책에 수록되었음.

) --> 

할도(喝道) 갈도(喝道).

) --> 

瞎禿】 ①對僧人的斥罵語 斥其法眼不明 臨濟語錄 有一般瞎禿子 飽喫飯了 便坐禪觀行 把捉念漏不令放起 厭喧求靜 是外道法 反語 稱得道禪僧 虛堂語錄六 大慧禪師 者般瞎禿得人憎 天上人間無兩箇

할독(瞎禿) 승인에 대한 척매어(斥罵語; 가리키며 욕하는 말). 그 법안이 밝지 못함을 가리킴(). 임제어록. 일반의 할독자(瞎禿子)가 있어 밥을 배불리 먹고 나선 곧 좌선하고 관행(觀行)한다 하며 염루(念漏)를 잡아 방기(放起)하지 않게 하거나 시끄러움을 싫어하고 고요함을 구하거니와 이는 외도법이다. 반어(反語)로 득도한 선승을 일컬음. 허당어록6. 대혜선사 자반(者般)의 할독(瞎禿)은 사람의 증오를 얻나니 천상과 인간에 두 개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