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銜環】 義見持環 ▲禪林疏語考證二 茲當返斾之時 庸致銜環之悃
함환(銜環) 뜻은 지환(持環)을 보라. ▲선림소어고증2. 이에 반패(返斾)할 때에 당해 함환(銜環)의 정성을 드림을 쓴다.
【咸詡】 宋代臨濟宗僧 依南嶽雲峰文悅得法 出世廬州澄慧 [續傳燈錄十三]
함후(咸詡) 송대 임제종승. 남악 운봉문열에게 의지해 득법했고 여주 징혜에서 출세했음 [속전등록13].
) -->
【合】 應該 究竟 ▲明覺語錄一 人天普集 合發明箇什麽事 ▲五燈會元三百丈懷海 師凡作務執勞 必先於衆 主者不忍 密收作具而請息之 師曰 吾無德 爭合勞於人
합(合) 응해(應該; 응당). 구경(究竟). ▲명각어록1. 인천(人天)이 널리 모였으니 합(合) 무슨 일을 발명해야 하는가. ▲오등회원3 백장회해. 스님은 무릇 작무(作務)하고 집로(執勞)하매 반드시 대중에 앞섰다. 주자(主者)가 참지 못하고 몰래 작구(作具)를 거두고 쉬기를 청했다. 스님이 가로되 내가 덕이 없거늘 어찌 타인을 합로(合勞)하게 하겠는가.
) -->
【欱】 飮 吸 ▲五燈會元五藥山惟儼 問僧 甚處來 曰 南泉來 師曰 在彼多少時 曰 粗經冬夏 師曰 恁麽則成一頭水牯牛去也 曰 雖在彼中 且不曾上他食堂 師曰 口欱東南風那
합(欱) 음(飮)임. 흡(吸)임. ▲오등회원5 약산유엄. 중에게 묻되 어느 곳에서 오느냐. 가로되 남천에서 왔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거기에 있은 지 얼마의 시절이냐. 가로되 대략(粗) 동하(冬夏)를 경과했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그렇다면 곧 한 마리의 수고우(水牯牛)가 되어 가리라. 가로되 비록 그 가운데 있었지만 또 일찍이 그 식당에 오르지 않았습니다. 스님이 가로되 입으로 동남풍을 마셨느냐(欱).
) -->
【合干】 干 卽有關關係之意 指參與喪葬法事之有關人員 又稱合干人 ▲百丈淸規三唱衣 若法衣多添留遺囑 次第呈衣 維那拈唱喪司合干人 貴在公心主行
합간(合干) 간(干)은 곧 유관, 관계의 뜻. 상장(喪葬)의 법사(法事)에 참여하는 유관인원을 가리킴. 또 명칭이 합간인. ▲백장청규3 창의. 만약 법의(法衣)가 다첨(多添)하고 유촉을 남겼다면 차제로 옷을 보이고 유나가 상사(喪司)의 합간인(合干人)에게 염창(拈唱)한다. 귀중함은 공심(公心)으로 주행(主行)함에 있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01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00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98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97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96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