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02쪽

태화당 2019. 12. 26. 10:41

合得可以 五燈會元十五黃龍志願 迦葉上行衣 何人合得披

합득(合得) 가이. 오등회원15 황룡지원. 가섭의 상행의(上行衣)를 어떤 사람이 합득(合得) 입겠는가.


闔閭吳王闔閭(-496 在位前514-496) 一作闔廬 姬姓 名光 又稱公子光 春秋末期吳國第二十四代王 以楚國舊臣伍子胥爲相 以齊人孫武爲將軍 使國勢日益强盛 [百度百科] 祖庭事苑六 干將 吳人也 與歐冶子同師闔閭 使造劍二枚 一曰干將 二曰鏌邪

합려(闔閭) 오왕 합려(-496. 재위 514-496)니 한편으론 합려(闔廬)로 지음. 희성(姬姓)이며 이름은 광()이며 또 호칭이 공자광(公子光)이니 춘추말기 오나라 제 24대 왕임. 초나라 구신(舊臣) 오자서를 재상으로 삼고 제()나라 사람 손무(孫武)를 장군으로 삼아 국세(國勢)로 하여금 날로 강성(强盛)을 더하게 했음 [백도백과]. 조정사원6. 간장(干將)은 오나라 사람이다. 구야자와 함께 합려(闔閭)를 사사(師事)했는데 검 2매를 만들게 했다. 하나는 가로되 간장(干將)이며 둘은 가로되 막야(鏌邪).

) --> 

闔閭城位於江蘇省常州市武進區雪堰鎭城裏村 與無錫市濱湖區胡埭鎭湖山村之間 爲春秋中期城池遺址 [百度百科] 介石智朋錄 殿前樹下乘凉 闔閭城中應供

합려성(闔閭城) 강소성 상주시 무진구 설언진 성리촌과 무석시 빈호구 호태진 호산촌의 사이에 위치함. 춘추 중기의 성지(城池)의 유지(遺址)가 됨 [백도백과]. 개석지붕록. 전전(殿前)의 나무 아래에서 서늘함을 타고 합려성(闔閭城) 가운데서 응공(應供)한다.

) --> 

합료(合鬧) 합뇨(合鬧; nào).

) --> 

合文宋代僧明慧 字合文 參黃龍慧南悟旨 住福州玄沙 [續傳燈錄十五 五燈會元十七]

합문(合文) 송대승 명혜(明慧)의 자가 합문이며 황룡혜남을 참해 지취를 깨쳤고 복주 현사(玄沙)에 거주했음 [속전등록15. 오등회원17].

) --> 

合盤】 ①合 盒子 後作盒 宏智廣錄一 無底合盤盛不盡 穿心椀子飣將來 猶合抱 雲門廣錄下 師問修造僧 甚處來 僧云 山上斫木來 師云 還斫得合盤麽

합반(合盤) ()은 합자(盒子)니 후에 합()으로 지었음. 굉지광록1. 밑이 없는 합반(合盤)에 담아서 다하지 않거든 중심이 뚫린 주발에 괴어 오너라. 합포(合抱; 양 팔로 껴안다. 주로 나무나 기둥 등의 굵기를 가리키는 이름의 뜻으로 쓰임)와 같음. 운문광록하. 스님이 수조승(修造僧)에게 묻되 어느 곳에서 오느냐. 중이 이르되 산 위에서 나무를 쪼개고 옵니다. 스님이 이르되 도리어 합반(合盤)을 쪼갰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