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03쪽

태화당 2019. 12. 26. 10:42

合伴禪門拈頌集第三六九則 拈頌說話云 合伴者 同行也 禪門拈頌集第三六九則枯木成 若是香山卽不然 甚處來 田中來 田中多少人 但對佗道 某甲從來不合伴

합반(合伴) 선문염송집 제369. 염송설화에 이르되 합반(合伴)이란 것은 동행임. 선문염송집 제369칙 고목성(枯木成). 만약 이 향산(香山; 고목성)이라면 곧 그렇지 않았겠다. 어느 곳에서 오느냐. 전중(田中)에서 옵니다. 전중에 사람이 얼마이던가. 다만 그를 상대해 말하되 모갑은 종래로 합반(合伴)하지 않습니다.

) --> 

闔府同合府 全官府 廣聞語錄上 此一瓣香 奉爲判府節制尙書 洎闔府尊官 增陪祿筭

합부(闔府) 합부(合府)와 같음. 전 관부(官府). 광문어록상. 1판향(瓣香)은 받들어 판부절제상서(判府節制尙書) 그리고 합부존관(闔府尊官)의 녹산(祿筭)의 증배(增陪)를 위합니다.

) --> 

合肥今安徽合肥 守端廣錄一 合肥請師 不赴

합비(合肥) 지금의 안휘 합비. 수단광록1. 합비(合肥)에서 스님을 청했으나 다다르지 않았다.

) --> 

闔山又作合山 全山 指一叢林之全體 列祖提綱錄六徑山盛 諸大護法 及闔山耆舊尊宿 命登此座

합산(闔山) 또 합산(合山), 전산(全山)으로 지음. 한 총림의 전체를 가리킴. 열조제강록6 경산성. 제대호법(諸大護法) 및 합산(闔山)의 기구존숙(耆舊尊宿)이 명하여 이 자리에 올랐다.

) --> 

合山指一叢林之全體 又作全山 闔山 或指一山之全體僧衆 此外 集合於一寺修行之全體僧衆 稱爲合山淸衆 又作闔山淸衆 列祖提綱錄二十五月江印 伏惟諸山和尙合山大衆 各各起居輕利

합산(合山) 한 총림의 전체를 가리킴. 또 전산(全山), 합산(闔山)으로 지음. 1()의 전체 승중을 가리킴. 이 밖에 1()에 집합하여 수행하는 전체의 승중을 일컬어 합산청중(合山淸衆)이라 하고 또 합산청중(闔山淸衆)으로 지음. 열조제강록25 월강인. 복유(伏惟)컨대 제산(諸山)의 화상과 합산(合山)의 대중은 각각 기거(起居)가 경리(輕利)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