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3쪽

태화당 2019. 12. 26. 11:32

解節經佛說解節經 一卷 梁眞諦譯 與解深密經中之勝義諦相品同本 收於大正藏第十六冊 宗鏡錄五十 解節經云 佛告廣慧菩薩 此識或說名阿陀那 何以故 由此本識 能執持身故

해절경(解節經) 불설해절경이니 1. () 진제(眞諦)가 번역했음. 해심밀경 중의 승의제상품과 동본(同本). 대정장 제16책에 수록되었음. 종경록50. 해절경(解節經)에 이르되 불타가 광혜보살에게 고하셨다. 이 식()은 혹 설명(說名)하여 아타나(阿陀那)니 무슨 연고냐, 이 본식(本識)으로 말미암아 능히 몸을 집지(執持)하는 연고다.

) --> 

解粘去縛謂解去身上之粘縛 轉指解去煩惱執著 以達自在無礙之境 碧巖錄第十五則 解粘去縛 抽釘拔楔 脫却籠頭 卸却角馱

해점거박(解粘去縛) 이르자면 신상(身上)의 점박(粘縛)을 해거(解去; 解制하여 제거)함임. ()하여 번뇌와 집착을 해거(解去)하여 자재무애(自在無礙)의 경지에 도달함을 가리킴. 벽암록 제15. 붙은 것을 떼고 묶임을 제거하며(解粘去縛) 못을 뽑고 쐐기를 뽑으며 굴레를 벗어 버리고 각타(角馱; 무거운 짐)를 내려버리다.

) --> 

楷定正決定也 宗鏡錄六 一切法印者 以此心印 印一切法 楷定眞實

해정(楷定) 바르게 결정함. 종경록6. 일체법인(一切法印)이란 것은 이 심인(心印)으로 일체법에 인()을 쳐서 진실을 해정(楷定)한다.

) --> 

孩提又作提孩 指幼稚的小兒 雪峰眞覺語錄序 孩提時聞鍾磬 覩僧佛 必喜動容色

해제(孩提) 또 제해(提孩)로 지음. 유치한 소아를 가리킴. 설봉진각어록서. 해제(孩提) 시 종경(鍾磬)을 듣거나 승불(僧佛)을 보면 반드시 기뻐하며 용색(容色)을 동()했다.

) --> 

解制解九旬安居之制限 首楞嚴經臆說 佛制比丘四月十五 爲禁足之晨 七月十五 名爲解制 密菴語錄 昔日文殊大士 三處度夏 一月長者家 一月魔宮 一月婬坊 末後却歸世尊會中解制

해제(解制) 구순안거(九旬安居; 90일 안거)의 제한을 푸는() 것임. 수릉엄경억설. 불타가 비구에게 제율(制律)하되 415는 금족(禁足)의 아침이며 715는 이름하여 해제(解制). 밀암어록. 석일에 문수대사가 세 곳에서 도하(度夏)했다. 한 달은 장자의 집이며 한 달은 마궁이며 한 달은 음방(婬坊)이다. 말후에 세존의 회중(會中)에 돌아와(却歸) 해제(解制)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