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潮寺】 位于廣東省潮陽縣城西約二公里塔山南麓 唐大曆元年(766) 大顚禪師來此寺 拜惠照禪師爲師 削髮受戒 寺內仍有其當年修禪遺迹
해조사(海潮寺) 광동성 조양현 성서(城西) 약 2㎞ 탑산 남쪽 기슭에 위치함. 당 대력 원년(766) 대전선사(大顚禪師)가 이 사원에 와서 혜조선사를 배알하고 스승으로 삼았으며 삭발하고 수계했음. 사내(寺內)에 그대로 그 당년(當年)의 수선유적(修禪遺迹)이 있음.
) -->
【海潮音】 ①音之大者 譬之於海潮 又海潮無念 不違其時 與大悲之音聲 應時適機而說法相似 [首楞嚴義疏注經二] ▲正法眼藏二 妙音觀世音 梵音海潮音 ②淸代臨濟宗僧明音 字海潮 詳見明音
해조음(海潮音) ①음성의 큰 것을 해조(海潮)에 비유함. 또 해조는 무념이지만 그 시각을 위배하지 않음이 대비(大悲)의 음성이 응시적기(應時適機)하여 설법함과 상사함 [수릉엄의소주경2]. ▲정법안장2. 묘음의 관세음은 범음이며 해조음(海潮音)이다. ②청대 임제종승 명음의 자가 해조. 상세한 것은 명음(明音)을 보라.
) -->
【該綜】 猶總括 ▲宋高僧傳十七唐廬山歸宗寺智常傳 渤(李渤)洽聞多識 百家之書無不該綜 號李萬卷矣
해종(該綜) 총괄과 같음. ▲송고승전17 당 여산 귀종사 지상전(智常傳). 발(渤; 李渤)은 들은 게 흡족하고 아는 게 많았으며 백가(百家)의 서적을 해종(該綜)하지 않음이 없었다. 호가 이만권(李萬卷)이다.
) -->
【海舟】 ①明代臨濟宗僧 字破浪 得法於梁山雙桂堂破山海明 住江西勝緣 [五燈全書七十] ②淸代臨濟宗僧 號慈濟 貴州人 嗣靈隱印文 住鎭遠雲臺寺 [黔南會燈錄三]
해주(海舟) ①명대 임제종승. 자는 파랑(破浪)이며 양산 쌍계당 파산해명(破山海明)에게서 득법했고 강서 승연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0]. ②청대 임제종승. 호는 자제(慈濟)며 귀주 사람이니 영은인문(靈隱印文)을 이었고 진원 운대사에 주(住)했음 [검남회등록3].
) -->
【海州】 今江蘇連雲港
해주(海州) 지금의 강소 연운항.
) -->
【海珠】 海底之寶珠 譬難得也 ▲傳燈錄十六樂普元安 夾山曰 龍銜海珠 游魚不顧
해주(海珠) 해저의 보주니 얻기 어려움에 비유. ▲전등록16 낙보원안. 협산이 가로되 용이 해주(海珠)를 머금어도 유어(游魚)는 돌아보지 않는다.
【海舟慈】 ①明代臨濟宗僧普慈 號海舟 詳見普慈 ②明代臨濟宗僧永慈 字海舟 詳見永慈
해주자(海舟慈) ①명대 임제종승 보자의 호가 해주니 상세한 것은 보자(普慈)를 보라. ②명대 임제종승 영자의 자가 해주니 상세한 것은 영자(永慈)를 보라.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6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5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3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2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1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