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脫德】 涅槃經所說大涅槃所具三德之一 謂脫離煩惱束縛 ▲禪林疏語考證一 三德 金光明經玄義曰 一法身德 二般若德 三解脫德
해탈덕(解脫德) 열반경에서 설한 바 열반이 갖춘 바 3덕의 하나. 이르자면 번뇌의 속박을 탈리(脫離)함. ▲선림소어고증1. 3덕(德) 금광명경현의에 가로되 1은 법신덕이며 2는 반야덕이며 3은 해탈덕(解脫德)이다.
) -->
【解脫道】 謂正證理之智慧 其智離惑之繫縛 自在證理 故稱解脫 [俱舍論二十五] ▲五燈會元八龍濟紹修 欲識解脫道 諸法不相到 眼耳絶見聞 聲色鬧浩浩
해탈도(解脫道) 이르자면 바른 증리(證理)의 지혜니 그 지(智)가 혹(惑)의 계박을 여의고 자재하게 증리(證理)하는지라 고로 명칭이 해탈임 [구사론25]. ▲오등회원8 용제소수. 해탈도(解脫道)를 알고자 한다면/ 제법이 서로 이르지 않는다/ 눈과 귀에 견문이 끊겼거늘/ 성색이 시끄럽게 호호하네.
) -->
【解脫論】 解脫道論 十二卷 梁 扶南三藏僧伽婆羅譯 收於大正藏第三十二冊 ▲祖庭事苑三 緣生卽十二因緣 亦名十二緣生 解脫論云 一無明者不知四諦 二行者 身口意業(云云)
해탈론(解脫論) 해탈도론이니 12권. 양(梁) 부남삼장(扶南三藏) 승가바라(僧伽婆羅)가 번역했고 대정장 제32책에 수록되었음. ▲조정사원3. 연생(緣生)은 곧 12인연이니 또한 이름이 12연생임. 해탈론(解脫論)에 이르되 1. 무명이란 것은 4제(諦)를 모름이다. 2. 행(行)이란 것은 신구의(身口意)의 업이다 (운운).
) -->
【解脫門】 得入解脫境界之門 卽稱解脫門 乃指脫離三界之苦而令得悟之門 此外 空 無相 無願等三種禪定 爲通往涅槃之門戶 故亦稱爲解脫門 [俱舍論二十八 大乘義章二] ▲五燈會元一四祖道信 幼慕空宗諸解脫門
해탈문(解脫門) 해탈경계에 득입(得入)하는 문을 곧 일컬어 해탈문이니 3계의 고(苦)를 탈리(脫離)하여 득오(得悟)하게 하는 문임. 이 밖에 공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 등 3종의 선정(禪定)은 열반에 통왕(通往)하는 문호가 되므로 고로 또한 일컬어 해탈문이라 함 [구사론28. 대승의장2]. ▲오등회원1 사조도신. 어릴 적에 공종(空宗)의 여러 해탈문(解脫門)을 흠모했다.
) -->
【解脫味】 卽涅槃之妙味 ▲宗鏡錄三十二 甘露法之食 解脫味爲漿
해탈미(解脫味) 곧 열반의 묘미. ▲종경록32. 감로법의 밥이며 해탈미(解脫味)는 장(漿)이 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51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50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8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7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46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