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模】 淸代臨濟宗僧 字永泰 依萬如通微得法 住宜興龍池 [五燈全書七十二]
행모(行模) 청대 임제종승. 자는 영태며 만여통미(萬如通微)에게 의지하여 득법했고 의흥 용지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2].
) -->
【行謀】 淸代臨濟宗僧 字曉雲 楚(湖北)人 參大覺玉林通琇得法 爲覺老侍者 順治十七年(1660) 琇再奉詔旨 於萬善殿陞座說法 謀隨侍在側 機辯迅捷 時人稱之 惜歸楚未出世卽寂 [正源略集四]
행모(行謀) 청대 임제종승. 자는 효운이며 초(楚; 호북) 사람. 대각 옥림통수(玉林通琇)를 참해 득법했고 대각의 노시자(老侍者)가 되었음. 순치 17년(1660) 통수가 조지(詔旨)를 받들어 만선전에서 승좌하여 설법하자 행모가 수시(隨侍)하며 곁에 있었는데 기변(機辯)이 신첩(迅捷)하여 시인(時人)이 그를 칭송했음. 애석하게도 귀초(歸楚)하여 출세하지 못하고 곧 적(寂)했음 [정원약집4].
) -->
【行渵】 淸代臨濟宗僧 字惠庵 永嘉(浙江溫州)吳氏 嗣浮石通賢 住溫州雲峰 [五燈全書七十七補遺]
행묘(行渵) 청대 임제종승. 자는 혜암이며 영가(절강 온주) 오씨. 부석통현을 이었고 온주 운봉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7보유].
) -->
【行懋】 淸代臨濟宗僧 字破笠 中州(河南)孔氏 參古南牧雲通門契機 住舒州天竺山 宏揚宗旨 [五燈全書七十六]
행무(行懋) 청대 임제종승. 자는 파립이며 중주(하남) 공씨. 고남 목운통문(牧雲通門)을 참해 계기(契機)했고 서주 천축산에 거주하며 종지를 굉양(宏揚)했음 [오등전서76].
) -->
【行聞】 (1610-1666) 淸代臨濟宗僧 字佛果 一字佛古 潼川(四川三台)張氏 行脚至金陵報恩 睹寶塔放光 驀觸前因 了明大事 遂詣天台 求證於通奇 機緣相契 遂承付囑 出住婁江古塘 遷太倉香雲 平湖曹溪 繼入都 暫憩隆安 値世祖臨幸 問答稱旨 結制圓寧 寂後龔鼎孳撰塔銘 有佛古禪師語錄四卷 [五燈全書七十八 正源略集六]
행문(行聞) (1610-1666) 청대 임제종승. 자는 불과(佛果)며 일자(一字)는 불고(佛古)니 동천(사천 삼태) 장씨. 행각하다가 금릉 보은에 이르러 보탑이 방광함을 보다가 갑자기 전인(前因)을 접촉하고 대사(大事)를 요명(了明)했음. 드디어 천태에 나아가 통기(通奇)에게 구증(求證)했고 기연이 상계(相契)하여 드디어 부촉을 승수(承受)했음. 출세해 누강 고당에 거주하다가 태창 향운ㆍ평호 조계로 옮겼음. 이어서 입도(入都)하여 융안에 잠시 쉬는데 세조의 임행(臨幸)을 만나 문답하며 칭지(稱旨)했고 원녕에서 결제했음. 적후(寂後)에 공정자가 탑명을 찬(撰)했음. 불고선사어록 4권이 있음 [오등전서78. 정원약집6].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9쪽 (0) | 2019.12.2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8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6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5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4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