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浣】 明代臨濟宗僧行澣 又名爲行浣 見行澣
행완(行浣) 명대 임제종승 행한은 또 이름해 행완이니 행한(行澣)을 보라.
) -->
【行耀】 淸代臨濟宗僧 字木偶 涇縣(今屬安徽)胡氏 參天童林野通奇 得受付囑 開法南嶽岣嶁峰東林寺 [五燈全書七十九補遺]
행요(行耀) 청대 임제종승. 자는 목우며 경현(지금 안휘에 속함) 호씨. 천동 임야통기(林野通奇)를 참해 부촉을 득수(得受)했고 남악 구루봉 동림사에서 개법했음 [오등전서79보유].
) -->
【行勇】 (1617-1655) 淸代臨濟宗僧 字不退 亦稱勇禪師 錢塘(浙江杭州)韓氏 自幼好佛 年二十一 至界山禮衍雲披薙 偕全庵進往天目參大覺通琇 日臻玄奥 後住吳興法海 遷衡之天台 [揞黑豆集七 五燈全書八十一 正源略集四]
행용(行勇) (1617-1655) 청대 임제종승. 자는 불퇴(不退)며 또한 명칭이 용선사(勇禪師)니 전당(절강 항주) 한씨. 어릴 적부터 불법을 좋아했고 나이 21에 계산에 이르러 연운을 예알하고 피치(披薙)했음. 전암진과 함께 천목에 가서 대각통수(大覺通琇)를 참했고 날로 현오(玄奥)에 이르렀음(臻). 후에 오흥 법해에 거주했고 형(衡)의 천태로 옮겼음 [암흑두집7. 오등전서81. 정원약집4].
) -->
【行溶】 淸代臨濟宗僧 字蹈先 休寧(今屬安徽)葉氏 依報恩通賢受法 住蘇州鐵山 [五燈全書七十七]
행용(行溶) 청대 임제종승. 자는 도선이며 휴녕(지금 안휘에 속함) 섭씨. 보은통현(報恩通賢)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소주 철산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7].
) -->
【行涌】 淸代臨濟宗僧 字雪岑 武林(浙江杭州)陳氏 依浮石通賢受法 住嘉興海門 [五燈全書七十七補遺]
행용(行涌) 청대 임제종승. 자는 설잠이며 무림(절강 항주) 진씨니 부석통현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가흥 해문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7보유].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9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8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6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4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