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願】 身之行與心之願 此二相資而成大事 ▲西巖了慧語錄下 行願不相應 身心不相似
행원(行願) 몸의 행과 마음의 원이니 이 둘이 상자(相資)하여 대사를 이룸. ▲서암요혜어록하. 행원(行願)이 상응하지 않고 신심(身心)이 상사(相似)하지 않다.
) -->
【行圓】 ①淸代臨濟宗僧 字古鑑 德安(今屬江西)胡氏 從達聞老宿薙染 首參天童圓悟 次依雪竇通雲 後見古南通門 命居第二座 歷住黃草山 龍池 獅山等處 [正源略集六] ②淸代臨濟宗僧 字天逸 昭陽(江蘇興化西)張氏 於維揚東隱脫白 首參夾山通問 入堂發憤 不復晏臥 次謁報恩通琇 略有悟入 後受問囑 住北京戒臺寺 [五燈全書八十補遺]
행원(行圓) ①청대 임제종승. 자는 고감(古鑑)이며 덕안(지금 강서에 속함) 호씨. 달문노숙을 좇아 치염(薙染)했고 처음(首)은 천동원오를 참했고 다음은 설두통운에게 의지했고 후에 고남통문(古南通門)을 참견했는데 명하여 제2좌에 거처했음. 황초산ㆍ용지ㆍ사산 등의 곳에 역주(歷住)했음 [정원약집6]. ②청대 임제종승. 자는 천일이며 소양(강소 흥화 서) 장씨. 유양 동은에서 탈백했고 처음 협산통문을 참해 입당(入堂)하자 발분(發憤)하여 다시 언와(晏臥)하지 않았음. 다음은 보은통수(報恩通琇)를 참알에 조금 오입(悟入)이 있었고 후에 문촉(問囑; 물어 부촉)을 받았음. 북경 계대사에 주(住)했음 [오등전서80보유].
【行元】 ①淸代臨濟宗僧 字息乾 武原(江蘇 邳州西北)兪氏 依石車通乘得法 住海鹽金粟 [五燈全書七十二補遺 正源略集五] ②(1601-1673) 淸代臨濟宗尼僧 一作行玄 字圓鑑 號直指 常熟(今屬江蘇)曹氏 幼出家 詣報國受具 嚴持律範 初參金粟圓悟 後依古南牧雲受法 掩關虞山 有語錄 年譜 [正源略集六 續比丘尼傳四] ③(1611-1662) 淸代臨濟宗僧 號白癡 漳浦(今屬福建)蔡氏 年二十入長泰石獅巖薙髮 崇禎七年(1634) 往黃檗參費隱通容 未幾證入元奥 命掌記室 後回建寧連峯住靜 辛已冬出世寶峰百山二刹 及浙之太平 長慶 順治五年(1648)主金粟 繼席六載 退居梵勝 遷明發 有百癡元禪師語錄十六卷 [五燈全書七十 高僧摘要三 正源略集五] ④淸代臨濟宗僧 字商尊 衡陽(今屬湖南)王氏 因事匿跡飛來庵 禮繼白首座出家 首謁金粟通容 機緣相契 上天童參圓悟 復謁通玄林野通奇 水乳契合 海陵何阜福慧寺請師開法 末住南嶽藥山 有語錄行世 [五燈全書七十八]
행원(行元) ①청대 임제종승. 자는 식건(息乾)이며 무원(강소 비주 서북) 유씨. 석거통승(石車通乘)에게 의지하여 득법했고 해염 금속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2보유. 정원약집5]. ②(1601-1673) 청대 임제종 니승. 한편으론 행현(行玄)으로 지으며 자는 원감이며 호는 직지(直指)니 상숙(지금 강소에 속함) 조씨. 어릴 적에 출가하여 보국에 나아가 수구(受具)했고 율범(律範)을 엄지(嚴持)했음. 처음 금속원오를 참했고 후에 고남목운(古南牧雲)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우산(虞山)에서 엄관(掩關)했음. 어록과 연보가 있음 [정원약집6. 속비구니전4]. ③(1611-1662) 청대 임제종승. 호는 백치(白癡)며 장포(지금 복건에 속함) 채씨. 나이 20에 장태 석사암에 들어가 머리를 깎았음. 숭정 7년(1634) 황벽으로 가서 비은통용(費隱通容)을 참했고 오래지 않아 원오(元奥; 玄奥)에 증입(證入)했고 명하여 기실(記室)을 관장했음. 후에 건녕 연봉으로 회귀하여 주정(住靜)했음. 신사 겨울 보봉ㆍ백산 2찰(刹) 및 절(浙)의 태평ㆍ장경에서 출세했음. 순치 5년(16 48) 금속을 주지(主持)하며 6재(載) 동안 계석(繼席)했음. 범승으로 퇴거했다가 명발로 옮겼음. 백치원선사어록 16권이 있음 [오등전서70. 고승적요3. 정원약집5]. ④청대 임제종승. 자는 상존이며 형양(지금 호남에 속함) 왕씨. 사정으로 인해 비래암에 익적(匿跡)했고 계백수좌를 참례하여 출가했음. 처음 금속통용을 예알하여 기연이 상계(相契)했고 천동에 올라 원오를 참했음. 다시 통현 임야통기(林野通奇)를 알현하여 수유(水乳)처럼 계합했음. 해릉 하부 복혜사의 청으로 개법했고 마지막에 남악 약산에 거주했음. 어록이 있어 행세함 [오등전서7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01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00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8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7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6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