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偉】 ①(1018-1080) 宋代黃龍派僧 河朔人 東京大佛寺受具 聽習圓覺 微有所疑 挈囊遊方 參黃龍慧南 六遷星序 一日扣請 尋被喝出 足擬跨門 頓省元旨 出世袁州仰山 法席冠江南 宋神宗元豐庚申十二月二十六日 說偈而化 壽六十三 臘三十三 [五燈會元十七 普燈錄四 五燈全書三十七] ②(?-1678) 淸代臨濟宗僧 字息心 金壇(今屬江蘇)于氏 幼年出家 歷參夾山 磬山 徑山 天童諸名刹 後謁玉林通琇得悟 開法黃山慈光 遷湖州扣冰 [五燈全書八十一]
행위(行偉) ①(1018-1080) 송대 황룡파승. 하삭(河朔) 사람. 동경(東京) 대불사에서 수구(受具; 구족계를 받음)했고 원각경을 청습(聽習)하다가 조금 의심되는 바가 있어 배낭(背囊)을 끌고 유방(遊方)하다가 황룡혜남(黃龍慧南)을 참알(參謁)했으며 여섯 번 성서(星序; 星宿의 차례. 곧 해)를 옮겼음. 어느 날 구청(扣請)하다가 이윽고 할출(喝出)을 입었는데 발이 문을 넘으려다 문득 원지(元旨; 玄旨)를 깨쳤음. 원주(袁州) 앙산(仰山)에서 출세했고 법석이 강남에서 으뜸이었음. 송(宋) 신종(神宗) 원풍경신(元豐庚申) 12월 26일에 게(偈)를 설하고 화거(化去)했으니 나이는 63, 승랍은 33. [오등회원17. 보등록4. 오등전서37]. ②(?-1678) 청대 임제종승. 자는 식심이며 금단(지금 강소에 속함) 우씨. 유년에 출가했고 협산ㆍ경산(磬山)ㆍ경산(徑山)ㆍ천동 여러 명찰(名刹)을 역참(歷參)했음. 후에 옥림통수(玉林通琇)를 참알해 깨침을 얻었고 황산 자광에서 개법했고 호주 구빙으로 옮겼음 [오등전서81].
) -->
【行瑋】 (1610-1676) 淸代臨濟宗僧 字岫雲 長洲(江蘇吳縣)顧氏 年十二投虎丘西隱房本如披薙 二十五參牧雲通門 命於古南首衆 後出住蘇州西華秀峰 遷虎丘興福 [五燈全書七十六 正源略集六]
행위(行瑋) (1610-1676) 청대 임제종승. 자는 수운이며 장주(강소 오현) 고씨. 나이 12에 호구 서은방 본여에게 투신하여 피치(披薙)했음. 25에 목운통문(牧雲通門)을 참하자 고남(古南)의 수중(首衆)에 명했음. 후에 출세하여 소주 서화수봉에 거주하다가 호구 흥복으로 옮겼음 [오등전서76. 정원약집6].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03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02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00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9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98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