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向上事】 指禪人領悟微妙禪法 進入無上至眞之境界 ▲祖堂集八疏山 行脚時 到大安和尙處 便問 夫法身者 理絶玄微 不墮是非之境 此是法身極則 如何是法身向上事 安云 只這个是
향상사(向上事) 선인이 미묘한 선법을 영오(領悟)하여 위없는 지진(至眞)의 경계에 진입함을 가리킴. ▲조당집8 소산. 행각할 때 대안화상의 처소에 이르러 곧 묻되 무릇 법신이란 것은 이치가 현미(玄微)를 단절해 시비의 경계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 법신의 극칙이니 무엇이 이 법신의 향상사(向上事)입니까. 대안이 이르되 다만 이것이 이것이다.
【向上眼】 無上至眞的眼目 ▲五燈全書六十一林泉從倫 參萬松 于阿那律得天眼因緣 有省 悟向上眼
향상안(向上眼) 위없는 지진(至眞)의 안목. ▲오등전서61 임천종륜. 만송을 참했다. 아나률(阿那律)이 천안을 얻은 인연에서 성찰이 있어 향상안(向上眼)을 깨달았다.
) -->
【向上人】 與向上機同義 堪能徹底體得諸佛境界之人 ▲傳燈錄二十四淸涼文益 問 如何是佛向上人 師曰 方便呼爲佛
향상인(向上人) 향상기(向上機)와 같은 뜻. 감내하며 능히 철저하게 제불의 경계를 체득할 사람. ▲전등록24 청량문익. 묻되 무엇이 이 부처의 향상인(向上人)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방편으로 부처라고 호칭한다.
) -->
【向上一句】 指超越一切語言知解的禪法妙句 猶第一句 ▲傳燈錄十六中雲蓋 問 如何是向上一句 師曰 文殊失却口 ▲從容錄第三十二則 向上一句 擬議卽墮
향상일구(向上一句) 일체 어언과 지해를 초월한 선법의 묘구(妙句)를 가리킴. 제1구와 같음. ▲전등록16 중운개. 묻되 무엇이 이 향상일구(向上一句)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문수가 입을 잃어버렸다. ▲종용록 제32칙. 향상일구(向上一句)는 의의(擬議)하면 곧 떨어진다.
) -->
【向上一竅】 與向上一著 向上一路同義 指言絶意斷之正眞大道 是千聖不傳之妙道 乃釋迦所不說 達摩所不傳底 ▲碧巖錄第三十六則曰 更須知有全提時節向上一竅 同種電鈔云 莊子齊物注曰 竅者 關竅至要之義 今意須知至全提時 有向上至要處也
향상일규(向上一竅) 향상일착(向上一著)ㆍ향상일로(向上一路)와 같은 뜻. 말이 끊기고 뜻이 끊어진 정진(正眞)의 대도(大道)를 가리킴. 이것은 천성(千聖)이라도 전하지 못하는 묘도(妙道)니 곧 석가도 설하지 못하는 것이며 달마도 전하지 못하는 바의 것임. ▲벽암록 제36칙에 가로되 다시 모름지기 전제시절(全提時節)의 향상일규(向上一竅)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동(同) 종전초(種電鈔)에 가로되 장자 제물(齊物) 주(注)에 가로되 규(竅)란 것은 관규(關竅)의 지요(至要)함의 뜻이다. 지금의 뜻은 수지(須知)에서 전제시(全提時)에 이르기까지, 향상의 지요(至要)한 곳이 있음이다.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6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3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2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0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