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40쪽

태화당 2019. 12. 27. 09:31

香山】 ①位於河南省洛陽縣龍門山東 白樂天與佛光如滿 同住此山 自號香山居士 位於浙江省寧波府慈溪縣東三十五里 山中生産香草故名 [大明一統志四十六] 又作香醉山 在無熱池之北 閻浮提洲之最高中心 漢所謂崑崙山也 俱舍論謂之香醉山 此山或卽今喜馬拉雅山山脈中 馬納沙湖北岸聳出之開拉斯山 南山戒疏一上曰 四河本源香山所出 (中略)俗云崑崙者 經謂香山 五燈會元十五妙勝臻 僧問 金粟如來爲甚麽却降釋迦會裏 師曰 香山南 雪山北

향산(香山) 하남성 낙양현 용문산 동쪽에 위치하며 백낙천이 불광여만과 더불어 이 산에 함께 거주했고 자호(自號)를 향산거사라 했음. 절강성 영파부 자계현 동방 35리에 위치하며 산중에 향초를 생산하는 고로 이름했음 [대명일통지46]. 또 향취산(香醉山)으로 지음. 무열지(無熱池; 阿耨達池; anavatapta)의 북방에 있으며 염부제주(閻浮提洲)의 최고 중심이니 한()에서 이른 바 곤륜산(崑崙山)이며 구사론에서 이를 일러 향취산(香醉山)이라 했음. 이 산은 혹 즉금의 희마랍아산(喜馬拉雅山; himaalaya) 산맥 중 마납사호(馬納沙湖; Mānasa) 북안(北岸)에 용출(聳出)한 개랍사산(開拉斯山; Kailāsa)인가 함. 남산계소1상에 가로되 4()의 본원(本源)은 향산(香山)에서 나오는 것이다 (중략) 세속에서 이르는 곤륜(崑崙)이란 것은 경에서 이르기를 향산(香山)이다. 오등회원15 묘승진. 중이 묻되 금속여래(金粟如來)가 무엇 때문에 도리어 석가회 속에 내렸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향산(香山)의 남이며 설산의 북이다.

) --> 

香山居士 唐代詩人白居易 號香山居士 詳見白居易

향산거사(香山居士) 당대 시인 백거이의 호가 향산거사니 상세한 것은 백거이(白居易)를 보라.

) --> 

響山琦淸代臨濟宗僧 弘覺道忞法嗣 [五燈全書七十四]

향산기(響山琦) 청대 임제종승. 홍각도민의 법사 [오등전서74].

) --> 

香山良宋代臨濟宗僧蘊良 嗣慈明楚圓 住明州香山 參蘊良

향산량(香山良) 송대 임제종승 온량이니 자명초원을 이었고 명주 향산에 거주했음. 온량(蘊良)을 참조하라.


香山寺位於河南洛陽西南十四公里 龍門山東崖 建立年代不詳 中唐元和年中(806-820) 馬祖道一法嗣伏牛自在駐錫於此 與丹霞天然道交頻繁 唐朝大和六年(832) 白居易重修本寺 以僧淸閒爲寺主 白氏所撰修香山寺記中云 龍門十寺觀遊之盛 以香山爲冠 會昌六年(846) 白居易歿 亦葬於此 其後本寺漸衰頹 至淸初 始奉敕重建於山腹之地 [白氏文集六十八 同七十一 大明一統志二十九 大淸一統志一六三]

향산사(香山寺) 하남 낙양 서남 14용문산 동애(東崖)에 위치함. 건립 연대는 불상. 중당(中唐) 원화년 중(806-820) 마조도일의 법사 복우자재(伏牛自在)가 여기에 주석(駐錫)했고 단하천연과 도교(道交)가 빈번했음. 당조(唐朝) 대화 6(832) 백거이가 본사를 중수했고 승() 청한을 사주(寺主)로 삼았음. 백씨(白氏)가 지은 바 수향산사기(修香山寺記) 중에 이르되 용문 10() 관유(觀遊)의 흥성함에 향산으로써 으뜸을 삼는다. 회창 6(846) 백거이가 죽자 또한 여기에 안장했음. 그 후 본사는 점차 쇠퇴했고 청초(淸初)에 이르러 비로소 봉칙(奉敕)하여 산복(山腹)의 땅에 중건했음 [백씨문집68, 71. 대명일통지29. 대청일통지163].

) -->